급여만 저축했는데 1년새 5349만원 늘었다

2025-03-27 13:00:02 게재

공직자 재산공개…평균 20억6314만원

주식 하락하고 고지거부해도 6201만원↑

177억 줄었지만 1000억 넘는 자산가도

행정부 소속 고위공직자 평균 재산이 20억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이 하락하고 가족 재산을 공개하지 않는 고지거부를 해도 1년 새 평균 재산이 6000만원 이상 늘었다. 급여저축으로 늘어난 금액만 5349만원이다. 177억원이나 재산이 줄었지만 여전히 1000억원이 넘는 자산가도 있다.

◆일반 국민과 비교하면 4배 가량 =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는 행정부 소속 정무직과 고위공무원단 가등급 등 2047명 재산공개 내역을 27일 공개했다. 국립대학 총장과 공직 유관 단체장, 지방자치단체장과 광역의회 의원, 시·도 교육감도 공개 대상자에 포함된다.

올해 대상자들이 신고한 평균 재산은 20억6314만원이다. 본인 이름으로 된 재산이 10억8952만원으로 가장 많고 배우자 8억368만원, 직계 존·비속 1억6994만원이다. 고위공직자 평균 재산은 일반 국민과 비교하면 4배 가까이 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4년 국민 가구당 평균 재산은 부채를 포함해 5억4022만원이다.

고위공직자들이 신고한 재산은 전년도와 비교해 평균 6201만원이 늘었다. 지난해 말 기준 신고액은 20억113만원이다.

위원회에 따르면 주식가격이 하락하고 독립생계를 유지하는 가족 재산을 신고하지 않는 고지거부를 했는데도 그렇다. 전체 대상자 가운데 70.3%에 달하는 1440명은 종전 신고때보다 재산이 늘었다. 재산이 감소했다는 고위공직자는 29.7%인 609명이다.

위원회는 재산이 늘어난 가장 큰 이유로 ‘급여저축 등 순재산 증가’를 꼽았다. 증가 요인 중 86%를 차지한다. 금액은 다수 직장인 연봉에 해당하는 5349만원이나 된다. 주택 공시가격과 토지 개별공시지가 상승에 따른 가액변동은 그 다음이다. 852만원으로 14%다. 위원회는 이 기간 개별 공시지가는 1.21%,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1.52%, 단독주택 공시가격은 0.57% 상승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신고한 고위공직자 평균 재산과 비교하면 증가 폭은 한층 커진다. 2024년 대상자 1975명이 신고한 재산은 평균 19억101만원이다. 올해 신고자 평균은 이보다 1억6213만원 많다. 위원회는 동일한 공개자가 전년도에 신고한 금액하고 비교해 6201만원이 늘었다고 밝혔다.

재산 증감 폭으로 보자면 국민과 괴리감은 더 커진다.

행정부를 통틀어 가장 많은 재산을 공개한 이세웅 행정안전부 이북5도위원회 평안북도지사는 총액을 1046억8588만원으로 신고했다. 장남과 차남 손녀 재산을 뺀 금액이다. 그는 가액변동 등으로 종전보다 177억7836만원이 줄었다고 신고해 재산 감소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11월 수시공개 당시 이 지사가 신고한 재산은 1224억6424만원이다. 그의 재산은 경기도 남양주와 서울 서초구 방배동 등지에 있는 도로 대지 임야 등 토지와 서울 중구 장충동 단독주택, 예금과 상장주식, 배우자 명의 골프·콘도 회원권 등으로 구성돼 있다.

◆최고 자산가는 평안북도지사 = 한편 재산 총액 상위자는 이세웅 평안북도지사이고 조성명 서울 강남구청장이 지난해보다 7억380만원 줄어든 482억507만원을 신고해 2위를 차지했다.

변필건 법무부 기조실장이 477억6129만원, 최지영 기획재정부 국제경제관리관이 410억9040만원, 이원모 대통령비서실 공직기강비서관이 397억8948만원으로 뒤를 잇는다.

국무위원 중에서는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177억3500만원으로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했고 광역단체장 중에서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74억553만원으로 재산이 가장 많았다.

시·도 교육감 중에서는 강은희 대구시교육감이 237억9702만원, 광역의회 의장 가운데는 최학범 경남도의회 의장이 56억4127만원으로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했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김진명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