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이재민 임시주택 공급 더뎌
대피시설생활 장기화 조짐
부지 확보 늦고 예산 없어
임시 주거시설 공급이 늦어지면서 경북산불 이재민들의 대피시설 생활도 장기화되고 있다. 아직도 상당수는 체육관 등에 대피해 있다. 특히 본격적인 농사철을 맞은 이재민들은 애간장을 태우고 있다.
최근 경북도 등에 따르면 지난달 의성에서 발생한 경북 산불로 4000여채의 주택이 전소되거나 불타 임시주택 수요는 3000여동에 이른다. 안동시에서만 1230채가 불탔다. 이밖에 영덕군 1520채, 청송군 770채, 의성군 357채, 영양군 110채 등이다.

이재민 4044명은 3일 현재 대피시설이나 임시주거시설에 머물고 있다. 1773명이 체육관 등 대피시설에 있고 나머지는 경로당 호텔 연수원 친척집 캠핑장 등 임시주거시설 등에 있다. 이들 이재민이 요구하는 임시주택은 2800여동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이재민을 위한 임시주거시설 설치는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현재 마을마다 부지확보가 쉽지 않고 예산도 확보되지 않아 이재민들이 임시주택에 입주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우선 행정기관이 부지를 확보하고 기반시설을 완비해 임시주택이 들어설 환경을 조성해야 하고 이와 함께 임시주택 구매계약과 생산이 병행되어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실제 안동시 일직면 명진리 82-1에는 임시주택 18개동이 들어설 예정이지만, 지금은 부지만 확정된 상태다. 측량, 설계, 기반시설 시공 등을 거치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도는 안동시 일직면에 18동을 설치 중이고 4월까지 80동을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앞으로 1000동을 추가로 확보할 예정이다.
문제는 예산이다. 경북도는 긴급주거지원용 모듈러주택 공급에 대한 국비 700억원 지원을 정부에 건의했다. 도는 임시주거지원 체계의 대전환과 산불피해 5개 시·군 마을공동체 재건을 촉진한다는 차원에서 영구주택 입주까지 모듈러주택을 이재민들에 1년간 지원할 계획이다.
최세호 기자 seho@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