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5대 금융지주에 지원 요청

2025-04-07 13:00:29 게재

수출기업 자금공급

금융상황 점검회의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국내 수출기업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5대 금융지주 회장들을 불러 자금공급 등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김병환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금감원, 5대 금융지주, 은행연합회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금융 상황 점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16층 대회의실에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5대 금융지주 회장, 정책금융기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열었다.

김 위원장은 “금융지주회사와 정책금융기관들이 중심이 돼 금융시장 안정과 함께, 기업 등 실물 부문에 대한 자금 지원에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해 주시기 바란다”며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인해 직접 영향을 받는 수출기업은 물론, 협력업체들의 경영이 어려워질 것으로 우려된다”고 밝혔다.

그는 “현장에서 거래 기업들의 상황과 영향을 밀착 점검하고 필요한 자금공급과 지원이 적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별히 챙겨주시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주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국내외 경제·산업과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황에서 다음 정부 출범까지 남은 2개월여 동안 우리 경제와 금융시장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 시점”이라며 “이럴 때일수록 금융이 그 본연의 기능을 보다 충실히 해 시장 안정을 유지하고 금융중개가 차질 없이 이루어지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달 50조원 규모의 첨단전략산업기금을 조성하겠다고 밝혔으며, 기금 조성 이후 시중은행들과 협력해 지원 규모를 100조원 이상으로 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전 세계적으로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첨단전략산업을 지원하고 통상 전쟁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다만 기금 신설을 위해서는 산업은행법 개정과 정부보증동의안의 국회 통과가 필요하다. 기금이 마련되면 수출기업과 협력업체 대한 초저리 대출은 물론, 지분투자, 후순위 보강, 수주산업의 금융지원 패키지 제공 등의 지원이 가능해진다.

이와 별개로 정부는 현재 미 관세 부과와 관련해 자동차 산업 지원 방안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 중이다. 3조원 수준의 긴급 정책금융 지원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수출 지원 확대를 위한 대규모 추경이 불가피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대만은 미국의 상호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수출기업 등에 2880억 대만달러(한화 약 12조6800억원)를 지원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이경기 기자 cellin@naeil.com

이경기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