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24
2024
충청권 메가시티(광역생활경제권)가 공식적인 첫 발을 내딛었다. 대전·세종·충남·충북 충청권 4개 시·도는 24일 오전 일제히 광역 공동사무를 추진할 특별지방자치단체인 ‘충청지방정부연합 규약’을 고시했다. 이번 고시는 최근 행정안전부가 해당 규약을 조건부승인한데 따른 것이다. 4개 시·도는 그동안 규약을 마련하고 각 의회 의결을 거쳐 행안부의 승인을 기다려왔다. 충청권 4개 시·도에 따르면 ‘조건’은 명칭변경이다. 행안부는 규약을 승인하면서 명칭인 ‘충청지방정부연합’을 올해 11월 30일까지 변경하도록 했다. ‘지방정부’라는 용어사용이 헌법·법령 규정 취지에 위배된다는 게 행안부 입장이다. 4개 시·도는 합의를 거쳐 대체명칭을 결정한 후 각 시·도 9월 임시회에 상정해 재의결할 방침이다. 이날 고시된 규약엔 △특별지자체 설치의 목적, 명칭, 사무소 위치 등에 관한 사항 △사무, 기본계획 수립에 관한 사항 △연합의회 관련 사항 △연합의 장, 행정기구, 협의회 등에 관한 사
충남도가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또 다시 앞서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충남은 지난해 정부의 국가첨단전략산업 ‘디스플레이 특화단지’에 선정된 바 있다. 충남도는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및 생태계 구축 사업’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에서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고 23일 밝혔다. 충남도에 따르면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및 생태계 구축 사업’은 내년부터 2032년까지 8년 동안 4840억원을 투입, 아산시 탕정테크노 일반산단 내 클린룸·기술지원동 등 연면적 4000㎡ 규모의 스마트모듈러센터를 구축하고 화소·패널제조 제품혁신 등 첨단기술 개발, 제품실증·인력양성 등을 추진한다는 내용이다. 스마트모듈러센터는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핵심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기업들이 공정 전반을 자유롭게 시험할 수 있는 실증시설이다. 충남도는 이번 사업이 계획대로 추진되면 무기발광 디스플레이의 원천기술과 패널생산 기술력을 확보, 시장지배력을 강화할 것으로
05.23
세종 부산 등 비수도권 거점 지자체가 중입자가속기 암치료센터 건립에 속도를 내고 있다. 중입자가속기 암치료센터가 수도권과 지역의료의 격차를 좁힐 수 있을지 관심이다. 23일 부산시와 세종시에 따르면 중입자가속기 암치료센터 건립이 각각 진행 중이거나 상반기 입지가 선정될 전망이다. 중입자가속기 암치료센터는 지난해 서울 세브란스병원에 처음 건립된 이후 획기적인 암치료로 관심을 끌고 있다. 남부권을 아우르는 부산 중입자가속기 암치료센터는 세종시에 비해 한발 앞서 가고 있다. 부산은 의료용 중입자가속기 설치작업이 본격 진행 중이다. 2027년 하반기 완공돼 암 환자 치료 개시를 목표로 한다. 과정은 순조롭지는 않았다. 계획 후 본격 추진까지는 장기간 우여곡절을 겪어야 했다. 기장군 동남권방사선의과학산단에 설치하려던 의료용 중입자가속기 사업은 지난 2010년 계획이 수립됐지만 추진과정에서 각종 문제가 발생해 11년 넘게 지체됐다. 사업비도 800억원 넘게 증가했다. 애초 주관기관
05.22
충남 서해안에 국제여객선 바닷길이 열릴지 관심이다. 충남의 국제여객선 취항의 꿈은 2008년 이후 제자리걸음만 해왔다. 22일 충남도와 서산시 등에 따르면 이들 지자체는 최근 충남 서해안 국제여객선 바닷길을 열기 위해 온 힘을 쏟고 있다. 충남도·서산시는 지난 8일 서산시 대산항 국제여객터미널에서 ‘2024 서산 모항 국제크루즈선 출항식’을 개최했다. 대산항 국제여객터미널이 완공된 2016년 이후 첫 취항이다. 8년 동안 대산항 국제여객터미널은 개점휴업상태였다. 충남도와 서산시는 이번 국제크루즈선 취항이 국제여객선 바닷길을 여는 첫 출발로 여기고 있다. 충남도 관계자는 “올해는 한번이지만 내년엔 2회 취항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당 크루즈선은 우리나라와 일본, 대만을 오간다. 충남의 국제여객선 취항 추진은 공식적으로 지난 2008년부터 시작했다. 당시 충남 서산시와 중국 영성시는 국제여객항로 개설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영성시는 중국 최동단으로 산
총선이 끝난 지 한달이 지났다. 총선 결과와 관계없이 정부에겐 커다란 숙제가 기다리고 있다. 바로 ‘제2차 공공기관 이전’이다. 윤석열정부는 집권 초 호기롭게 2차 공공기관 이전을 장담했다. 정권 초 해치우겠다는 결의도 보였다. 5년 간 변죽만 울리다가 끝난 문재인정부의 전철을 밟지 않겠다는 자신감으로 보였다. 하지만 총선이 가까이오자 입장을 바꿨다. 총선 이후에 ‘제2차 공공기관 이전’을 하겠다고 한 것이다. 선거 국면에서 민감한 문제를 뒤로 돌리는 것은 어찌 보면 선거공학 차원에서 당연한 일이다. 그런데 윤석열 대통령의 지난 9일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밝힌 공공기관 이전 관련 입장은 미묘했다. 윤 대통령은 “지역특성 등에 맞게 맞춤형 이전을 추진하겠다”며 “지역과 협의해 빠른 시일 안에 계획을 짜겠다”고 했다. 여기까지는 그동안 밝혀온 정부의 입장과 다르지 않다. 하지만 정작 비수도권에서 주목한 발언은 다른 것이었다. 윤 대통령은 이 발언에 앞서 “각 지역에서 기대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