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 '소각장 광역화' 찬반논란
안산·강서구 공동사용 '비용절감'
시민단체 "환경·시민안전이 우선"
경기 부천시가 기존 소각장을 증설해 안산시·서울 강서구와 공동으로 사용하기로 했지만 시민단체와 소각장 인근지역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부천시는 소각장 노후화·쓰레기 발생량 증가 등으로 소각장 증설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인 반면 시민단체들은 쓰레기 감량정책과 기존 소각장을 보수해 처리용량을 늘리자고 주장한다.
14일 부천시와 부천시민연대회의에 따르면 시는 지난 4월 서울 강서구, 안산시와 '자원회수시설 광역화 증설사업 기본협약'을 맺고 오정구 대장동 부천자원순환센터 내에 2020년까지 현재 하루처리용량 300톤 규모인 소각장을 600톤 규모로 증설하기로 했다.
부천시는 기존 소각로가 내구연한(15년)을 넘겨 대보수를 해야 하는데 1년 이상 걸리는 대보수기간에 같은 규모(300톤)의 대체 소각로가 필요하고 장기적으로 쓰레기량 증가, 수도권매립지 쓰레기 반입금지 등에 대비해 소각로 증설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현재 부천시 생활쓰레기 발생량은 하루 282톤이다. 이 가운데 200톤가량은 대장동 소각장에서, 35톤은 MBT 연료화시설에서 각각 처리하고 나머지 50톤가량은 수도권매립지로 보내 처리한다. 대장동 소각장은 원래 1일 300톤 처리용량으로 설계됐으나 열효율문제 등으로 적정처리용량이 220톤에 불과하다. 현재 매립하는 쓰레기와 향후 부천옥길지구(1만2000여세대) 입주 등으로 늘어날 쓰레기를 감안하면 100톤 규모의 소각장이 더 필요하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기존 소각장에 100톤짜리 소각로를 추가 설치할 경우 340억원이 든다. 그러나 안산시·강서구 쓰레기를 받는 조건으로 300톤짜리 소각로를 더 짓고 기존 소각로를 대보수할 경우, 사업비 718억원(국·도비 포함)을 모두 강서구와 안산시가 부담한다. 여기에 3개 지자체 공동운영에 따른 운영비절감분(연 20억원)까지 포함하면 수백억원을 아낄 수 있다. 시 관계자는 "대장동 소각장은 애초부터 600톤 규모로 건축돼 현 소각장 내에 소각로만 추가 설치하면 되고, 새 소각로 설치 후 기존 소각로 대보수기간동안 부천시가 우선 사용하기로 협약, 대보수에도 대비했다"고 말했다.
반면 시민단체들은 소각장 증설보다 쓰레기 감량정책에 행정력을 집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부천시민연대회의는 "범시민적 쓰레기감량과 재활용확대 운동에 나선다면 50톤 이상 줄일 수 있고, 현 소각장의 대보수를 통해 280톤으로 처리용량을 높이면 소각장을 증설하지 않아도 된다"고 주장했다. 환경부와 수도권 3개 지자체가 수도권매립지 사용기한 연장에 합의한 만큼 매립지나 군포 등 인근 지자체 소각장을 활용하면 대보수 기간 쓰레기 처리대책도 마련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실제 안양시는 2012년 평촌 소각장(1일 처리용량 150톤)을 1년여에 걸쳐 보수하는 동안 쓰레기를 수도권매립지와 인근지역 소각장으로 분산 처리했다. 특히 경기도는 2013년 고양·부천 등 소각장 가동률이 높아 증설이 필요한 지자체의 쓰레기를 당시 가동률이 50% 이하인 군포·파주 등 인근 소각장에서 처리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도내에 가동 중인 기존 소각장(23곳)의 광역화를 통해 소각장 증설 및 운영비를 아끼자는 것이다.
연대회의는 "국도비와 타 지자체가 부담하는 비용 역시 시민들이 낸 세금인데 부천시는 오직 증설만 주장하면서 여러 가지 가능성과 여지를 무시하고 있다"며 "소각시설을 더 지어 타 지역 쓰레기까지 수입해 태우겠다는 것은 다이옥신 미세먼지 등 오염물질 증가에 따른 환경문제와 시민안전을 무시한 행정편의주의적 발상"이라고 주장했다.
부천시 관계자는 "지난해 시민단체 지역주민 등이 참여하는 협의회를 구성·운영했는데 환경오염 문제는 거론되지 않았고 광역화의 필요성에 대부분 공감했다"며 "주변지역 지원대책 확대 등을 통해 주민들을 설득하고 의견도 충분히 수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