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사형 생활화학제품 안전 사각지대 여전"

2020-05-29 11:42:46 게재

1개당 평균 87% 흡입 안전값 미확인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 현황점검

시중에 판매되는 분사형 제품 1개당 평균 87% 흡입 안전값이 미확인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는 환경부의 안전확인대상 생활화학제품 중 함유 성분 확인 가능한 220개를 조사한 결과다.

사회적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안전사회소위원회는 29일 오후 3시~5시30분 서울시 중구 소공동 포스트타워에서 '흡입노출위험 생활화학제품 사각지대 현안 점검' 좌담회를 연다. 이날 좌담회에서 정미란 환경운동연합 생활환경국장은 '소비자 시장에 유통되는 흡입노출위험 생활화학제품 실태 현황' 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분무기형이나 스프레이형 등 220개 분사형 제품을 분석한 결과, 제품 1개당 최소 1종에서 최대 46종의 화학물질성분을 포함하고 있었다.

동일 물질이라도 향료, 계면활성제, 탈취제, PH조절제, 세정 및 세척제 등 다양한 기능으로 활용되고 있었으며 제품 내 화학물질 용도 정보는 표준화 되어 있지 않아 기업에서 제공한 정보 그대로 분석을 했다는 설명이다.

정 국장은 발제문을 통해 "220개 제품에 살생물물질 98종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 중 위해성 평가 실시 및 사전검토를 마친 물질은 18%에 불과했다"며 "나머지 물질 82%는 위해성 평가 미실시 및 사전 검토 없이 사용됐다"고 비판했다. 이어 "더 큰 문제는 현행 제도상 승인유예기간이 있기 때문에 최소 3년 ~ 최대 10년의 기간동안 적절한 정보 없이 살생물물질에 노출될 수 밖에 없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220개 분사형 제품에서 함유된 466종 화학물질 중 흡입 안전값 확인된 물질은 48종(10%)에 불과했다. 나머지 물질 418종(90%)의 흡입 안전값은 확인되지 않았다. 제품 1개당 평균 87%의 흡입 안전값이 미확인됐다. 또한 220개 분사형 제품에서 함유된 466종 화학물질 중 피부 안전값 확인된 물질은 66종(14%)에 불과했다. 제품 1개당 평균 76%의 피부 안전값이 미확인됐다.

정 국장은 발제문을 통해 "화학물질등록평가법과 화학제품관리법이 이원화 되어 화학물질 정보 관리 사각지대 발생하고 있다"며 "생활화학제품 성분 용도를 표준화하고 궁극적으로는 안전한 대체물질을 사용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좌담회에서는 세정제 등 대량사용 생활화학제품의 사용물질 함량기준에 대한 논의도 이뤄진다.

이종현 EH R&C 환경보건안전연구소 소장은 발제문을 통해 "환경배출에 의한 생태독성 및 환경잔류성, 생물축적성 등에 대한 영향평가를 통해 세정제 등 대량 사용 생활화학제품 내 사용물질 함량기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며 "특히 방역용 소독제의 경우 대량으로 특정기간에 집중적으로, 또는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특성상 환경에 대량으로 배출될 수밖에 없으므로 사용조건에 따른 생태위해성평가를 통해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특히 어린이 활동공간 등에 사용된 경우 방역 뒤 물체에 남을 수 있는 소독제들을 어떻게 처리할지 등 추가적인 안전조치 마련 검토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환경부는 "방역용 소독제의 경우 질병관리본부 등과 논의를 거쳐 방역잔존 물질이 생기지 않도록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며 "유럽연합도 130여종의 살생물물질을 검토하는데 20년이 걸리는 등 현실적으로 승인유예기간은 필요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오늘 나온 지적들에 대해 면밀히 검토해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김아영 기자 aykim@naeil.com
김아영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