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 박상현 해양 PNT 연구단장

"오차 10cm 이하 위치정보기술 개발"

2020-06-23 12:07:56 게재

미국 EU 등과 경쟁·협력

상용화·국제표준 선점

현대자동차에서 차량용 네비게이션을 연구하던 기술자가 오차범위 10cm 이하의 '차세대 해양위치정보(PNT) 서비스' 기술 개발을 책임졌다. 상용화와 국제표준을 선점하기 위해 관련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미국 유럽연합 중국 일본 등과 한편으로 경쟁하면서 한편으로 협력도 하는 정무적 감각까지 갖춰야 하는 고난도 작업이다.

해양수산부는 오는 24일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부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KRISO)에 '해양 PNT 연구단'을 설치하고 현판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단장은 전자공학과 통신을 전공하고 현대자동차를 거쳐 2005년부터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에서 항법을 연구하고 있는 박상현(50. 사진) 책임연구원이 맡았다. P·N·T는 각 위치잡기(Positioning), 항법(Navigation), 시각동기화(Timing)로 실시간 정확한 위치를 잡아 항해하는 기술이다.

박 단장은 22일 내일신문과 인터뷰에서 "선박항해에서 사용하는 위치정보서비스 수준을 현재 오차범위 10m에서 100분의 1인 10cm 이하까지 줄이는 게 중요 과제로 떠올랐다"며 "자율주행차량처럼 선박에도 무인항해, 자율운항선박 등이 개발되고 상용화하는 과정에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항해사가 배에 타고 운항할 때는 위성을 통해 10m 범위의 위치정보를 받아도 눈으로 보면서 위치를 조정하고 항구에 정박도 했지만 사람이 타지 않는 자율운항선박은 정밀도가 높은 위치정보를 받지 않으면 안 된다"고 덧붙였다.

정밀한 위치정보는 사용하는 파장을 변화시켜서 감지할 수 있다. 파장의 길이가 300m에 이르던 파를 대신해 19cm 주기의 파를 사용하는 식이다.

박 단장은 "고정밀 위치정보는 24시간 365일 서비스가 돼야 한다"며 "국제해사기구에서는 cm급 정확도를 보장하고, 오차범위가 25cm 이상 벌어지면 10초 이내에 서비스를 받는 사람이 알 수 있어야 한다고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고정밀 위치정보는 오차에도 엄격하다. 박 단장은 "전파교란으로 오차가 생겼을 때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람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10만번에 한 번 정도 오차를 알려주지 못 하는 것은 용인하지만 이를 벗어나면 안 된다"고 덧붙였다.

고정밀 위치정보서비스 기술을 개발하면 자율운항선박 뿐 아니라 스마트항만, 스마트물류에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 단장은 "우리 사업의 결과는 육상에서 사용할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개발과도 연계할 것"이라고 밝혔다. 해상과 육상을 모두 아우르는 고정밀위치정보서비스가 상용화되면 민간에서는 다양한 신산업이 일어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해양 PNT 연구단은 2024년까지 전 해역에서 상용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실증결과를 보여주고 2025년부터 상용화할 수 있게 하는 목표를 잡았다. 해수부는 이를 위해 27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

정연근 기자 ygjung@naeil.com
정연근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