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로 재생에너지 간헐성 극복"

2021-03-23 12:11:41 게재

한전 경영연구원 보고서 … ESS산업 활성화 5가지 추진전략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극복하려면 에너지저장장치(ESS) 활용이 확대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전 경영연구원은 'ESS 산업 활성화를 위한 5가지 전략' 보고서에서 △ESS 역할 확대 △ESS 고유성 확보 △시장제도 개선과 타산업 연계 △차별적 규제 개선 △실증사업 확대 등을 제언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첫째 재생에너지 간헐성과 변동성 해소를 위해 ESS 활용이 필요하다. 재생에너지 확대시 수요반응과 스마트그리드만으론 안정적인 발전대책이 안된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규제기관, 계통 운영자, 고객 등 이해 관계자가 ESS 개발 초기 단계부터 참여해 접속, 급전 지시, 보상 관련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둘째 ESS를 전력공급(발전·송·배전) 또는 부하설비가 아닌 별도 자산으로 분류해 고유성을 인정해야 한다. ESS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분류가 없는 규제체계는 비용 효율적인 면에서 장애요소다.

아울러 지금까지 ESS 산업은 리튬이온 배터리 중심이었지만, 고속 충전과 화재 위험 등의 기술적 한계로 다른 저장기술을 추가 연구할 필요가 있다.

최근 에너지저장 기술 연구는 기존 배터리 개선, 압축공기 또는 플라이휠(전기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 기반의 기계적 ESS, 수소와 메탄올을 활용한 화학적 ESS에 대해 진행되는 추세다.

셋째 전력시장 참여 요건 완화 등 규제환경 개선이 요구된다. ESS를 활용한 전기요금 체계 변화, 수요패턴 변화요인 분석 등 고객 편익서비스 제공은 검토 대상이다.

저장용도 외에 전동차, 공장·발전소 등 타 산업부문과의 연계 기회도 발굴한다. 공장과 기존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열을 저장한 후 필요할 때 발전시켜 에너지 가격이 높을 때 판매한다면 새로운 매출 확보가 가능하다. 수소 기반 화학적 ESS는 재생에너지로 발전한 전력을 장기간 저장할 수 있어 전력망 유연성과 탈탄소화에 기여하고, 운송·산업 연료, 농업용 열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넷째 차별적 규제 개선 및 진입장벽 완화가 요구된다. ESS의 전력망 보강비용 회피에 대한 보상 제외, 규제시장에서 쌍무계약을 통한 서비스 제공 불허, 비규제시장에서의 도매시장 입찰 제한 등의 규제 개선 목소리가 높다.

전력망 접속, 충전부문 경쟁도입, 공정한 규제를 통한 진입장벽 완화도 추진해야 한다.

다섯째 실증사업 확대 및 투자촉진 제도 마련이 시급하다. 2015년 신규 설치의 95%가 리튬이온 배터리였고, 2019년 3분기 벤처캐피탈의 ESS 기술 분야 투자액 19억달러 중 리튬이온 외의 기술 투자는 10% 미만에 불과했다.

전기차 뿐만 아니라 건물, 열병합발전 등 전력계통 부문으로 ESS 실증분야를 확대해야 한다.

ESS 투자 활성화를 위한 유틸리티와 계통운영자간 전력공급 계약, 사업 자금 조달구조, 운영 방식 관련 정보 공유 등 제도 선진화도 필요하다.

[관련기사]
정부믿고 투자한 ESS사업자 벼랑끝 위기 … 산업생태계 붕괴

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
이재호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