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녹조 독성' 등 국정감사 오른다

2021-10-05 12:23:42 게재

환경운동연합, 환경노동위원회에 질의서 전달

△4대강 녹조 독성(마이크로시스틴) △낙동강 유역 거버넌스 정상화 및 보 처리방안 마련 △대구 취수원 이전 철회 등 4대강사업 후속처리 문제가 또 국감 무대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환경운동연합은 4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1 국정감사 주요 사안에 대한 질의서를 환경노동위원회 위원들에게 전달했다고 밝혔다.
낙동강 주요지점 녹조 독성│정수근 대구환경련 자연생태국장이 낙동강 주요지점 녹조독성수치를 표시한 지도를 공개하고 있다. 사진 남준기 기자

지난 여름 낙동강과 금강에서 미국 레저활동 기준을 수백배 초과한 마이크로시스틴(Microcystin)이 검출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환경부는 '보도 설명자료'를 통해 "취수구는 대부분 중층수 채수로 녹조가 유입되는 일은 거의 없다"며 "고도정수처리로 먹는 물 안전에는 문제가 없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 △해평(구미) △고령(고령, 성주, 대구 달성) △칠서/본포(창원) △매리/물금(부산) 등 낙동강 유역 대규모 취수시설 상당수가 '중층 이하 취수'가 아니라 '표층수 취수' 방식이다.

환경부는 취수구 앞이 아닌 녹조가 거의 없는 취수구 상류 강 한가운데서 표층수 중층수 저층수를 채수해 녹조를 분석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제대로 해명하지 않았다.

이명박정부 때 만들어진 이런 채수방식과 녹조경보체제는 환경부 녹조대책에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로 지목된다.

지난 10년 동안 환경부 녹조대책은 사실상 변한 게 거의 없다.

"녹조대응 위한 과학적 모니터링 대폭 강화"(2014년)

"관계부처 협업으로 여름철 녹조발생에 체계적 대응"(2015년)

"△선제적 녹조 발생원 관리 △먹는물 안전 등 국민건강 확보 △녹조 비상대응체계 가동 △과학적 조류관리 기반 제고"(2016년)

"△정수장별 준비상황 사전점검과 기술지원 △여름철 녹조 대비 안전한 수돗물 공급"(2017년)

"△녹조 개선을 위한 보 수위조절 △오염물질 유입차단 △녹조 감시·대응체계 강화 △먹는물 안전 확보 △국민참여형 녹조 대응"(2018년)

"△오염물질 유입 차단 △녹조 대응 강화 △먹는물 안전 관리 △현장대응 이행력 강화 △녹조 대응기술 개발·보급"(2019년)

"△오염원 유입 저감 △효율적인 녹조 감시체계 구축 △녹조 발생시 대응 △대국민 소통 강화 및 기술연구"(2020년)

"△오염원 유입 저감 △효율적인 녹조 감시체계 구축 △녹조 발생시 대응 △대국민 소통 강화 및 기술연구"(2021년)

매년 구체적인 추가대책이 나와도 모자랄 판인데 2018년 이후엔 대책 내용까지 거의 유사한 수준이다.

지난 6월 24일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는 '낙동강 취수원 이전' 등의 내용을 담은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을 의결했다. 지역 주민들은 낙동강 본류 수질개선을 요구했으나 이를 무시하고 대구 취수원을 구미로 이전하는 방안을 통과시켰다.

이 과정에 '낙동강네트워크' 소속 단체 대표가 이 방안에 찬성하는 등 낙동강 유역 거버넌스 체계가 심각한 손상을 입었다.

환경운동연합은 "낙동강 중하류 수질이 현재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은 낙동강 중류에 대구의 취수원이 있기 때문"이라며 "대구 취수원 이전은 낙동강 중하류의 수질 악화를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남준기 기자 namu@naeil.com
남준기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