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10년간 방치한 축분 어디로 갔나
2012년 런던협약으로 가축분뇨의 해양투기가 금지된 후 우리나라 하루 가축분뇨 발생량 18만5100톤(2018, 통계청)이 10년째 방치되고 있다. 비과학적인 운용의 악순환과 방향 부재의 정책으로 근본적인 해결 방안이 쉽지 않다. 따라서 축산 현장의 애로사항을 공유한 연구자로서 그간의 성과와 고민을 보고하고자 한다.
2010년 우리나라 전역에서 구제역이 발생하였고 그중 가장 심한 경북권역에서부터 관련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중소기업청(2회), 산업통상부(2회), 경북도청 농축산기술 용역과제 등 5번의 국책연구사업을 수행하였다. 때로 100ppm이 넘는 암모니아 돈사 속 땀에 절고 계분에 범벅이 된 방역복을 벗을 때는 차라리 후련하다. 그러나 우후죽순처럼 대안들이 제시되고 있음에도 열역학적으로 지속가능한 축분처리 방법은 있을지 의구심이 든다. 현재 우리 농경지는 이미 과에너지화되어 있다. 그런데도 각자의 방법만이 최선이라는 주장과 요구에 정책마저 지쳐있어 궁극의 축분 처리방법은 통찰하지 못한 것 같다.
지금까지 현장의 경험과 사회적 합의를 종합하면, 문제는 축분 처리의 구조적인 문제에서 나타난다. 현행 우리나라 가축 분뇨처리의 주된 방법은 퇴비화(95%)로 축산농가의 개별 자원화 처리(71%)와 폐기물 위탁처리(23.7%) 위주인데 그 자체로는 고도 처리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그간 방치 수준으로 간과하였기에 국가의 축분 처리 정책은 엄목포작(掩目捕雀)임을 반증한다. 그 예로 퇴비화는 부숙 여부만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악취 저감은 물론 축분 내 농축된 중금속과 수질오염의 직접 원인으로 꼽히는 유해 병원균 등이 전혀 처리되지 않은 상태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형태의 영농자원이 아닌 심각한 환경오염원임이 간과되어 있다. 특히 돈분의 생물학적 처리만으로는 유기질 비료로 효능과 수요가 떨어진다.
가축분뇨는 특히 경축순환 농법에 근거한 친환경적 처리형태로 개발되어야 하며(가축분뇨법 시행규칙 제9조), 적용 후에도 환경친화적이며 지속 가능하도록 생애주기별 순환이 실현되어야 한다. 따라서 외형적인 축산환경의 선진화와 스마트화 이전에 우선 친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형태의 원 분뇨처리 문제가 선결되어야 한다. 그래서 우선 계분이나 우분 등 수분 함량이 적은 축분은 컴포스트(COMPOST) 처리해 펠릿화하고 이를 열병합 발전소 등의 고온 연료로서 완전소비 처리하는 것이다. 또 한 가지 방법은 원분뇨를 우선 화학적 처리를 통해 근본적 문제를 처리한 후, 생물학적 처리를 병행하여 퇴비화해서 지속가능한 형태로 축분을 소비시키는 것이다.
이 두 가지 방법은 역량 조절과 고비용으로 인해 농가 주도적으로는 실행은 어렵다. 그러나 국가의 분산된 정책과 이미 중복된 지원을 집중하면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은 아니다. 결국 축분의 처리는 경축순환 농법에 따른 지속가능한 형태로 처리하여 활용가치를 높이고,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바이오 에너지화율을 높이는 방략만이 최종적인 솔루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