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주남저수지 녹조 문제, 통합물관리 정신으로 해결하자
철새도래지 주남저수지에 녹조가 다량으로 발생해 비상이다. 주남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과 홍수조절 기능을 하는 저수량 3400만톤의 배후습지성 호수로 주천강을 거쳐 낙동강 본류와 합류한다. 7월부터 발생하는 녹조가 평년과는 다르게 6월 말부터 시작해 산남 선착장부터 용산배수장 인근까지 저수지의 절반 이상을 점령했다.
녹조 대명사인 낙동강 본류마저 아직 ‘경계’ 단계가 발령되지 않은 상황과 대비돼 주남저수지 녹조는 창원시 현안을 넘어 신임 환경부장관의 인사청문회에 등장했다. 급기야 한국농어촌공사와 창원시는 수문을 개방하는 특별한 조치를 취했다.
수문개방이 과연 녹조문제 해결을 위한 최선의 대책인지에 대해 필자는 의문이 든다. 왜냐하면 주남저수지 녹조 원인이 제대로 파악되지 않은데다 수문개방이 주천강과 낙동강 본류의 녹조에 미치는 영향까지 면밀하게 분석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수문개방이 녹조문제 해결 대책인가
먼저, 일부 환경단체들은 주남저수지에 번성하던 가시연 등 수생식물이 사라지면서 녹조가 심화됐다고 주장한다. 또한 주남저수지 바로 위 봉곡저수지는 현재 수초가 번성해 녹조가 발생하고 있지 않다는 점을 근거로 제시한다.
수초가 수면을 덮으면 햇빛을 차단해 수온 상승을 막아주고 녹조를 성장시키는 광합성을 차단한다는 점에서 나름 타당한 얘기다. 과거 주남저수지를 뒤덮고 있던 수생식물이 왜 사라졌는지에 대한 원인과 그 영향에 대한 정밀조사가 필요하다.
둘째, 녹조 발생 주요 요인으로 오염원 관리가 중요하다. 호소에 발생하는 녹조는 오염원을 먹고 자라므로 먹이원을 차단하면 녹조 성장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주남저수지 상류에 있는 축사에서 유입된 가축분뇨와 강우 시 토지에서 유출되는 비료로 인해 녹조 성장에 필요한 인과 질소가 저수지로 공급될 수 있다. 창원시와 농어촌공사는 이런 오염원의 유입 경로를 정확히 파악해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설치하는 등 오염원 저감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새로운 녹조 저감방안으로 깨끗한 낙동강 본류 물을 끌어들여 주남저수지로 공급해 저수지 물 흐름을 개선한다면 녹조를 저감시킬 수 있다. 실제로 환경부는 작년 6월 낙동강 본류에 녹조가 발생할 때 댐·보·하굿둑을 연계 운영해 2300cells/mL에 달하는 유해남조류 세포수를 932cells/mL까지 저감하는 등 그 효과를 톡톡히 보았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이번 사태에 한국농어촌공사와 창원시가 저수지의 녹조관리를 두고 각 기관의 소관 업무가 아니라고 책임을 전가하면서 신속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점이다. 차제에 댐과 하천의 녹조관리를 담당하는 환경부가 저수지까지 관리하는 등 저수지 녹조문제에 대한 관리주체를 찾아주는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정확한 원인 규명과 근본대책 필요
주남저수지의 녹조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수문 개방과 같은 단기 대책뿐만 아니라 정확한 원인규명과 함께 문제해결을 위한 근본대책이 나와야 한다. 이를 위해선 단순히 한 기관만의 노력이 아니라 수량과 수질을 한 번에 아우르는 ‘통합물관리’ 차원의 협력이 필요하다.
주남저수지를 관리하고 있는 농어촌공사와 창원시, 녹조관리에 전문성을 지닌 낙동강유역환경청과 한국수자원공사 학계 환경단체 등 각 분야의 이해관계자들이 한마음 한뜻으로 협력한다면 주남저수지의 녹조문제는 확실히 해결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