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연임 눈앞…특검법·민생정당·확장 과제

2024-08-16 13:00:06 게재

8.18 전당대회, 서울 경선 앞두고 지지율 90% 육박

최고위원 당선권도 친명 일색 … 이재명 체제 완성

‘일극 체제·야당 한계·재판’ 등 1기 과제도 그대로

더불어민주당이 18일 대표·최고위원을 선출하는 전당대회를 앞둔 가운데 이재명 의원의 대표직 연임 결정이 유력하다. 국민여론조사·서울 권리당원·대의원 등의 결정이 남아 있지만 지난 2022년 처음 당 대표로 선출될 때 지지율(77.7%)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함께 진행된 최고위원 경선이 치열하지만 모두 ‘이재명과 함께’를 전면에 걸고 뛴 ‘친명’ 일색이다. 다음 대선을 염두에 둔 민주당내 2기 이재명 체제의 시작일 공산이 크다. 전당대회 직후 이재명 체제는 1기에서 매듭짓지 못한 현안을 고스란히 넘겨 받는다. 채 상병 특검법 등 용산 대통령실과 맞서고 있는 현안 해결은 물론 총선에서 약속한 ‘민생정당’의 유능함을 선보여야 한다. 제1야당을 넘어 다음 정권을 책임질 수 있는 수권정당으로 인정받아야 하는 숙제도 안고 있다.

박수 받는 정청래 민주당 정청래 최고위원이 16일 최고위에서 최고위원으로서 마지막 발언을 마친 뒤 박수 받고 있다. 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민주당은 17일 오후 1시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당대표 및 최고위원 후보자 서울지역 순회 합동연설회를 연다. 18일 서울 KSPO돔에서 열리는 전국당원대회에선 지역순회 권리당원 온라인 투표와 대의원 투표 등을 합산한 최종 결과가 공개된다. 권리당원 56%, 대의원 투표 14%, 일반 여론조사 30%를 반영하는데, 11일까지 진행된 권리당원 온라인 투표에서는 이재명 후보 89.21% 김두관 후보 9.34% 김지수 후보 1.45%를 각각 얻었다. 이 후보가 90%대의 지지율을 기록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지만 2022년 전당대회에서 얻은 77.7%를 넘어설 것은 확실해 보인다.

8명이 경쟁을 벌이고 있는 최고위원 경선에서는 김민석 18.93% 정봉주 15.63% 김병주 14.02% 한준호 13.66% 이언주 11.56% 전현희 11.54% 민형배 10.53% 강선우 5.03% 순이다. 정봉주 후보가 ‘이재명 팔이’를 비판하며 당내 특정세력을 겨냥하면서 논란이 커지는 등 변수가 등장했으나 ‘친명 인사들의 찐명 경쟁’이라는 점은 여전하다. 이번 전당대회를 통해 이재명 대표를 중심으로 한 친명계 지도부가 등장해 다음 지방선거와 대선을 준비하게 된다.

2기 이재명 체제가 직면하는 첫번째 과제는 1년 넘에 끌어온 채 상병 특검법 처리다. 윤 대통령이 이미 거부권을 행사한 바 있고 새 법안도 비슷한 과정을 거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한동훈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에게 전당대회 출마에서 제기했던 특검법 발의를 촉구하는 등 압박하고 있지만 실제 현실화 여부는 미지수다. 이재명 후보는 이와 관련 지난 13일 방송토론회에서 “(특검법이) 계속 지지부진하게 되면 국정조사를 통해 진상규명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실적 수순을 밟는 것이지만 압도적 의석을 발판으로 ‘21대 국회와는 다를 것’이라고 장담했던 입장에선 한참 후퇴한 것으로 비칠 수 있다.

22대 국회가 출범한 후 국회가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이 후보는 대표 출마선언부터 ‘경제·민생’을 최우선으로 하는 ‘먹사니즘’을 해결하는 정치를 공언했는데 민생관련 법안은 물론 민주당표 민생공약으로 제도화된 실적이 전무한 상황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윤 대통령과 여당이 국회 의결을 인정하지 않고 국민과 맞서겠다고 나서면서 벌어진 일”이라며 “행정권을 갖지 못하는 야당의 한계”라고 말했다. 그러나 상임위를 장악하고 단독 처리-거부권-재표결 부결 등의 반복되는 대결정치를 극복할 대안을 내놓지 못하는 야당 또한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전당대회에서도 제기됐던 ‘확장성 한계’ 극복도 넘어서야 할 과제 중에 하나다. 김두관 후보는 “총선에서 압승한 민주당의 지지율이 여당에 뒤지고 있다”면서 “당내 소수 강경 개딸들이 민주당을 점령했다. 이렇게 해서 차기 대선과 지방선거를 이길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라고 비판했다. 한 여론조사전문가는 16일 “탄핵이나 정부여당에 대한 공격이 총선민의의 전부였다면 지금 민주당 지지율은 지금보다 한참 더 위에 있어야 하는데 여당과 비슷하거나 뒤지는 결과가 나온다”면서 “총선은 정부여당에 대한 심판이었고, 앞으로 누가 여론의 심판대에 오를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다른 야당과의 관계 설정도 눈여겨 볼 대목이다. 조국혁신당은 교섭단체 기준 완화를 담은 국회법 개정안을 내놓고 민주당의 총선 약속 이행을 촉구하고 있다. 민주당은 총선 전 현행 20석인 교섭단체 기준 완화에 긍정입장이었다가 22대 국회 원 구성을 앞두고는 추가적 논의 등을 이유로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재명 의원과 관련한 재판 상황도 2기 이재명 체제 행보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이 의원과 관련한 재판 가운데 10월 중 1심 선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특히 민주당내 비명계의 움직임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8.15 광복절 복권 대상에 포함된 것에 적잖은 정치적 의미를 부여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이 의원의 대표 연임을 두고 ‘일극 체제 강화’라고 비판해 온 목소리가 더욱 커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이명환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