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3명 중 1명은 교통약자
국토부 실태조사 … 고령화 영향 18만명 늘어 이동편의시설 적합률 3.8%p↑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말 기준 국내 교통약자는 1586만명으로, 전년대비 약 18만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4일 서울과 부산, 인천, 세종시 등 전국 8개 특별·광역·특별자치시를 대상으로 한 ‘2023년도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교통약자는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동반자 어린이 등 이동에 불편을 느끼는 사람을 뜻한다.
국토부는 전국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를 8개 시와 9개 도로 나눠 2년마다 번갈아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를 조사한다. 버스와 도시·광역 및 일반철도 차량, 항공기, 여객선 등 교통수단과 여객터미널, 철도역사, 공항 등 여객시설이 각각 조사 대상이다.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교통약자 수는 총인구 5133만명의 30.9%인 1586만명으로 집계됐다. 2022년보다 약 18만명(1.1%) 증가했다. 총인구는 5144만명에서 11만명(0.2%) 감소한 반면 교통약자는 더 늘었다.
유형별로는 고령자(65세 이상)가 973만명으로 가장 많은 비율(61.3%)을 차지했다. 이어 장애인 264만명(16.7%), 어린이 230만명(14.5%), 영유아 동반자 245만명(15.4%), 임산부 23만명(1.4%) 순으로 나타났다.
교통약자가 주로 이용하는 교통수단을 살펴보면 자치구 내 이동시에는 버스(32.4%)를 이용하거나 휠체어를 포함한 보행(29.8%)으로 주로 이동했다. 특별·광역·자치시 내 이동에는 버스(42.6%), 지하철(28.1%), 시외로 이동에는 승용차(62.8%), 기차(15.5%)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의 경우 모든 통행에서 바우처·임차택시(기초 15.0%, 광역 20.0%, 지역 간 12.1%) 및 특별교통수단(기초 5.5%, 광역 6.7%, 지역 간 3.1%)을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각장애인의 버스·지하철 이용률(기초 25%, 광역 35.1%)은 지체(기초 52.5%, 광역 54.8%)·청각(기초 68.9%, 광역 65.6%) 장애인의 버스・지하철 이용률에 비해 낮았다.
계단이 없고 차체가 낮아 휠체어 이용자, 고령자 등의 승·하차가 용이한 저상버스(시내버스)의 2023년 전국 보급률은 38.9%로 2022년 대비 4.1%p 상승했다. 특별교통수단은 법정대수 대비 약 101.4%로, 전국적으로 볼 때 법정대수를 처음으로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특별·광역시 등의 교통수단, 여객시설, 도로(보행 환경)를 대상으로 한 이동 편의시설의 기준적합률은 85.3%로 조사됐다. 2021년 조사보다 3.8%p 증가했다.
버스는 8개 시 모두 기준적합 설치율이 90%를 웃돌며 평균 95.9%로 2022년 보다 0.8%p 올랐다. 도시·광역철도 차량은 기준적합률 97.3%로 1.3%p 높아졌다. 항공기는 0.2%p 증가한 73.9%에 그쳤다. 저비용항공사(LCC)를 중심으로 교통약자를 위한 영상 안내 등의 항목이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여객선은 기준적합률이 74.9%로 직전 조사보다 37.1%p 대폭 증가했다. 이는 해양수산부가 진행한 연안여객선 교통약자 편의시설 설치·지원 사업의 효과로 분석됐다. 여객시설 이동 편의시설의 기준 적합률은 2021년보다 2.8%p 상승한 82.8%로 모든 부문에서 적합 설치율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교통약자 이동 편의 증진을 위한 관심으로 이동편의시설이 지속적으로 개선되는 결과가 나타났다”며 “실태조사 결과를 전국 교통행정기관 및 사업자에 제공해 개선 방향을 제시할 계획”이라고 했다.
김선철 기자 sckim@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