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번의 탄핵, 그때마다 진보비중 높아져…‘샤이보수’ 확산

2024-12-26 13:00:17 게재

박근혜·윤석열 탄핵소추안 통과후 진보층 30% 후반대까지 확장

“노무현 탄핵때 첫 등장” … 여론조사에 진보층 의견 과다 반영

‘침묵의 나선효과’ 작동 … 국민의힘 지지율은 20%대 방어 중

12.3 내란 사태를 일으킨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통과된 이후 보수진영의 ‘침묵의 나선효과’가 작동하면서 ‘샤이보수층’이 상대적으로 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는 민주당 지지율 급등 등 진보진영 목소리가 과다 대표되는 여론조사로 나타날 가능성이 제기된다.

26일 한국갤럽에 따르면 지난 17~19일 전국 유권자 1000명을 대상으로 이뤄진 전화면접 방식 여론조사를 보면 보수층이 26.5%, 중도층이 25.0%였으며 진보층은 35.5%에 달했다. 진보진영 유권자들이 적극적으로 여론조사에 응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념성향으로 볼 때 상대적으로 보수층 목소리가 작아졌다고 볼 수 있다. 윤 대통령에 대한 국회의 탄핵소추안 통과가 이뤄진 게 이달 14일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조사는 이러한 변화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난 3일 직후의 여론조사(10~12일)에서도 보수진영은 24.5%에 그친 반면 중도는 32.8%, 진보는 32.2%였다. 1주일 만에 중도가 줄고 진보 비중이 크게 늘어난 셈이다.(95%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p, 자세한 내용은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관저 앞 두 목소리 윤석열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하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2차 출석 요구에 불응한 25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에서 탄핵 찬반 양측에서 각각 집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종찬 기자

비상계엄 이전엔 어땠을까. 지난달 26~28일 조사에서는 보수진영과 진보진영의 비중이 각각 26.1%로 같았고 중도는 35.6%였다. 같은달 19~21일 조사 역시 보수 26.5%, 진보 28.1%였고 중도는 33.0%를 기록했다.

비상계엄 선포와 국회의 탄핵소추를 거치면서 진보진영의 여론조사 참여도가 높아졌고 보수진영은 숨을 죽이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8년 전 최순실 국정농단에 따른 박근혜 대통령 탄핵 정국때와 비슷한 모습이다. 최순실 사태가 수면 위에 본격적으로 올라오기 전인 2016년 8월말(23~25일) 조사에서는 27.8%가 보수였고 진보는 24.9%, 중도는 25.6%였다.

박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에 보고돼 표결을 앞둔 2016년 12월 6~8일 조사에서는 진보진영의 비중이 30.0%로 뛰어올랐고 보수는 25.8%에 그쳤다. 중도가 29.9%였다. 탄핵소추안이 통과된 이후(13~15일)에도 보수는 27.4%, 중도는 24.5%에 그친 반면 여론조사에 참여한 진보 진영 비율은 32.5%였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서치뷰 안일원 대표는 “노무현 대통령을 탄핵했다가 한나라당이 수세에 몰리면서 ‘샤이보수’ 현상이 여론조사상 처음으로 포착됐고 두 번째로 크게 나타났던 게 박근혜 탄핵 전후, 그리고 이번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전후까지 크게 탄핵정국 3번에 걸쳐 보수층의 침묵의 나선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면서 “이념 성향이라는 게 하루아침에 쉽게 바뀌는 게 아니라는 점에서 진보 진영의 유권자들이 적극적으로 여론조사에 참여해 표집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고 했다.

다만 박 대통령 탄핵소추안 통과 이후엔 민주당 지지율이 40%대로 치솟고 새누리당은 10%대로 주저앉았던 것에 반해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통과 이후에도 국민의힘 역시 24%로 버티고 있다. 민주당 지지율은 48%를 기록하는 등 압도적인 우위를 보였지만 국민의힘의 콘크리트 지지층이 붕괴되지 않고 있다는 얘기다. 보수의 텃밭이라고 불리는 대구·경북이나 부산·울산·경남 등에서 여전히 30%대의 지지율을 유지하고 있고 70세 이상에서도 51%의 지지를 받고 있다. 보수진영의 지지율은 63%였다.

안 대표는 “박근혜 대통령 탄핵때와 달리 지금은 국민의힘이 쪼개질 정도는 아니고 당 주류 중심으로 윤석열 대통령을 지원하는 대오가 형성돼 있는 상황”이라며 “민주당이 수권정당으로 국민의힘의 대안이 될 수 있느냐는 등에 대해 의구심이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고 했다.

박준규 기자 jkpark@naeil.com

박준규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