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83% “온실가스 감축목표 현수준 유지”
한국경제인협회 조사
“탄소중립 지원책 강화”
국내 제조분야 기업들은 정부가 유엔(UN)에 제시할 산업부분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현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매출액 기준 1000대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NDC에 대한 산업계 의견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한국은 2030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총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감축하는 내용의 2030 NDC를 2021년 제시했다. 정부는 2035년까지 달성해야 할 NDC를 올해 하반기 유엔에 제출하기로 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2030 산업 부문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가능성은 평균 38.6%로 ‘낮음’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 기업들은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운 요인으로 ‘저탄소 산업구조로의 전환 어려움’(31.0%)과 ‘에너지효율 개선 지연’(26.2%), ‘경제 및 생산 위축’(20.2%), ‘저탄소 기술 혁신 및 상용화 지연’(19.0%) 등을 꼽았다.
기업들은 2035 산업 부문 온실가스 감축목표에 대해선 82.7%가 현행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고 답했다. 2035 국가 NDC 수립 시 보완사항으로는 ‘이해관계자와의 소통과 의견수렴을 통한 합리적 목표치 설정’(22.2%)과 ‘기후 대응 예산의 구체화’(22.2%) 등을 제시했다.
‘탄소중립 목표 시점 조정’(16.9%)과 ‘부문 간 감축목표 조정’(15.9%)이라는 답도 나왔다.
기업들은 저탄소 경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환리스크 가운데 ‘온실가스 배출 가격 상승’(54.6%)에 따른 리스크를 가장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에너지집약업종은 ‘저탄소에너지원 사용’(58.1%)에 따른 비용 부담 리스크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경협은 “에너지집약업종은 대부분 대외의존도와 산업연관효과가 높은 업종”이라며 “해당 업종의 전환리스크에 따른 국가경제 전반의 부정적 영향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2035 NDC 제출을 앞두고 기후정책 강화 및 전환리스크에 따른 기업경영 부담이 크게 가중되고 있다”며 “기업들이 본업에 집중하면서 급변하는 글로벌 기후정책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합리적인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탄소중립 지원정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성수 기자 ssgo@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