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원자로 선제 지원해야”

2025-02-13 13:00:17 게재

한국경제인협회 보고서

사용후핵연료 처리 해결

원자력발전소 가동으로 발생하는 사용후핵연료 저장용량 포화시점이 5년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차세대 원자로에 대한 선제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는 13일 김용희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에게 의뢰한 ‘차세대 원자로 기술 동향과 정책 과제’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차세대 원자로는 2030년대 이후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세대 원자로와 비교해 높은 지속가능성 안전성 친환경성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사용후핵연료를 재처리해 원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후핵연료 처리 문제와 우라늄 수급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사용후핵연료에 재처리 과정을 거쳐 우라늄을 분리·재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현재 사용후핵연료는 국내에 영구 처분하는 시설이 없어 개별 원전 내의 대형 수조인 습식저장조에 보관돼 있는데 2030년 한빛 원전을 시작으로 수조가 가득 차게 된다.

보고서는 차세대 원자로를 통해 현재 국내에 보관 중인 사용후핵연료 약 1.9만톤(2023년 기준)을 재활용할 수 있다며 이를 통해 국내 전력 수요를 최대 350년간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아울러 보고서는 차세대 원자로가 노심(원자로에서 핵분열이 일어나는 부분) 냉각에 고압(150기압)의 물이 아닌 대기압(1기압)의 냉각재만 사용하는 만큼 중대 사고의 원인인 냉각재의 증발이나 유출 위험이 적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차세대 원자로의 중대 사고 발생 빈도는 1000만년에 1회로, 현세대 원자로의 10% 이하 수준이다.

고성수 기자 ssgo@naeil.com

고성수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