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진영 ‘정책연대’ 합의 …‘연합정부’ 부상

2025-02-21 13:00:13 게재

친명·비명 이어 조국혁신당도 “연정으로 정권교체”

8년 전 탄핵연대 깬 ‘문재인정부’ 경험 ‘반면교사’

조기대선이 이뤄질 경우 진영대결로 펼쳐질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진보진영에서 ‘내란 종식 연대’를 ‘정책연합’과 함께 ‘연합정부(연정)’로 묶어 정권교체를 이뤄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어 주목된다. 진보부터 온건보수까지 하나로 묶어 단일 후보로 대선에 나가 이탈표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집권이후 ‘국민 통합’을 달성할 수 있다는 얘기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당 내부의 친문계 등 비명계와 조국혁신당 등이 ‘연정’을 제안한 데 이어 친명계 좌장인 정성호 의원도 ‘연정’을 언급했다.

다만 이 대표 등 민주당 지도부는 ‘내란종식’과 ‘탄핵심판’을 위해서는 개혁신당과 시민단체까지 모은 ‘연대’에 찬성하면서도 대선국면에서의 ‘정책연대’를 넘어 국정을 같이 하는 ‘연정’까지 갈 지에 대해서는 다소 미온적인 반응을 보였다. 야5당이 출범시킨 ‘내란 종식 민주 헌정 수호 새로운 대한민국 원탁회의’가 ‘연합’의 플랫폼으로 꾸려졌다. 느슨한 정책연대까지 합의한 상태다.

탄핵심판 인용 직후에 나오는 여론조사 결과가 ‘연정’ 가능성을 가늠하게 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민주당만으로의 정권교체가 어렵다는 당안팎의 여론이 강해질 경우 불가피하게 연정카드에 대한 압박강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얘기다.

21일 민주당 지도부 핵심관계자는 “대선에 접어들게 되면 절대과반 의석을 가진 민주당이 대권까지 갖게 되는 데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을 해소시킬 필요가 있고 집권이후에도 3분의 2이상의 압도적인 의석수 확보가 중요한 만큼 연합, 연대, 연정이 필요하는 시각이 당내에도 있다”면서 “다만 어느 정도의 수준까지 강화할 것인지는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했다.

친명계 정성호 의원은 전날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나와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 질서를 부인하면서 국민을 갈가리 찢어놓는 상황에서 민주당은 국민을 통합해야 한다”며 “국정 안정을 도모하려면 폭넓게 스탠스를 잡아야 한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꿈꿨던 대연정을 실현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그는 “김대중 전 대통령도 집권을 위해 DJP(김대중·김종필) 연합도 하고 굉장히 보수적인 분과도 함께하지 않았나”라며 “그렇게 국민을 통합했기 때문에 IMF 위기도 극복했다”고 강조했다.

정 의원이 언급한 ‘연정’은 이미 비명계 잠룡인 김부겸 전 총리, 김경수 전 경남지사와 김동연 경기지사 등이 제안한 바 있다.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김종민 무소속 의원 등 민주당 밖에서도 정권교체를 위한 ‘연정’의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전날 친문재인계 김 전 지사는 페이스북에 “야권 5개 정당을 넘어, 내란세력에 속하지 않은 중도와 보수까지 함께하는 압도적인 민주주의 정부를 만들어야 한다”며 “그것이 지금의 시대정신”이라고 했다.

이에 앞서 김 전 지사는 문재인정부의 연정 실패경험을 소개하며 “국민들 간의 심각한 갈등을 치유하고 국민통합을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단순히 장관직을 제안하는 방식이 아니라 선거 이후 정부 출범 때부터 인수위(또는 그에 준하는 조직) 단계에 함께 참여해 정책 협의를 통해 협약을 맺고 그 결과에 따라 내각도 공동으로 구성하는 ‘한국형 연정’이 필요하다”고 했다.

문재인정부에서 일한 김 전 총리는 전날 YTN과의 인터뷰에서 ‘중도 우파까지 껴안는 범탄핵 찬성 빅텐트’에 대해 “다음 대선 과정 자체가 민주당만이 주역이 되어서 대한민국의 이런 갈등과 여러 가지 난제들을 풀 수가 없다”며 “그동안 민주당과 민주당의 목소리에 동감하시던 분들보다는 폭을 넓혀야 그런 힘이 생긴다”고 했다.

박준규 기자 jkpark@naeil.com

박준규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