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특화망으로 스마트팩토리 만든다

2025-02-26 13:00:08 게재

현대차-삼성전자 손잡고 5G 특화망 실증 … 물류로봇·무선공구·검사장비에 활용

현대자동차와 삼성전자가 손잡고 5G 특화망에 기반한 스마트 제조 설루션 구축에 나선다.

현대차는 1월부터 삼성전자와 함께 진행한 ‘5G 특화망 레드캡’ 기술 실증을 마치고, 관련 기술을 3월 3일 스페인에서 열리는 IT·전자 박람회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25’에 전시한다고 26일 밝혔다.

현대차는 삼성전자의 전용 기지국과 통합관리시스템으로 구성된 5G 특화망 레드캡 인프라 설비를 바탕으로 자사가 직접 설계한 완성차 검사 단말기를 활용한 공장장비와의 통신성능 검증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5G 특화망이 구축된 현대차 사업장에서 양산 적용 중인 자동물류로봇(AMR)이 가동 중인 모습. 사진 현대자동차 제공

5G 특화망은 기업이 사내 또는 특정구역내 통신을 위해 기지국을 설치하고, 별도 통신 주파수대역을 활용하는 전용 통신체계다. 외부 인터넷모바일 사용자와 통신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외부간섭이 없는 만큼 통신단절이나 지연이 거의 없고, 초고용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송수신할 수 있다. 또 다량의 산업용 로봇이나 무선장비에 대해 중앙집중적 통제를 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특성과 요구에 최적화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다만 5G 특화망 운영은 단말 설계의 복잡성, 인프라 구축을 위한 기술력, 높은 전력 사용량을 전제로 한다.

현대차와 삼성전자가 함께 실증한 5G 특화망 레드캡 기술은 기존 5G 대비 △단말 구성 단순화 △특화망 장비 소형화 △제조현장 설비와 환경을 고려한 주파수 대역폭 축소 등의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을 통해 저전력과 저사양, 저비용으로 5G 수준의 통신속도와 데이터 처리 용량, 안정적인 연결성을 확보했다고 두 기업은 설명했다.

기존에는 자동 물류 로봇 등 한정적 장비에만 5G 특화망을 적용했다.

하지만 레드캡 기술을 도입하면 차량검사 장비, 소형 무선공구, 카메라, 태블릿PC 등 다양한 제조공정 장비를 고속 무선통신으로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현대차는 완성차 무인 자율 검사 장비인 ‘D 스캔’에 퀄컴의 SDX35 칩셋을 탑재했고, 이는 삼성전자의 5G 특화망 인프라와 연동돼 고용량의 차량 품질검사 데이터를 빠르게 송수신할 수 있게 됐다.

현대차와 삼성전자는 3월 3~6일 ‘MWC25 바로셀로나’에서 삼성전자 전시 부스 내에 특별 전시 공간을 마련하고, 양산차 제조 공정에 적용할 수 있는 5G 특화망 레드캡 통신 체계를 공개할 예정이다.

현대차는 지난해 10월 울산3공장 의장 라인과 미국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등에 적용했고, 이에 기반해 무인운반차량(AGV), 자율주행로봇(AMR) 수백 대가 운용 중이다.

현대차는 5G 특화망과 와이파이를 결합, 통신 안정성을 극대화한 이중화 무선통신 설루션을 개발해 특허를 획득하기도 했다. 현대차는 2026년 상반기 가동 목표인 울산 EV(전기차) 전용공장에도 5G 특화망 도입할 예정이다.

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

이재호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