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MBK 불공정행위 들여다본다

2025-03-11 13:00:03 게재

“제2의 티메프 사태 막아야”

여야 긴급 현안질의 18일 진행

민주당, 13일 노조 등 만나기로

사모펀드 MBK파트너스의 불법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국회가 나섰다. 제2의 티메프 사태를 차단하겠다는 의도다.

11일 국회 정무위원회는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간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최대 주주인 MBK파트너스를 대상으로 긴급 현안 질의를 위한 증인채택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여야 의원들이 합의해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과 함께 홈플러스 대표이사를 맡고 있는 김광일 MBK 부회장을 증인으로 채택할 것으로 알려졌다.

사모펀드 운용사인 MBK파트너스는 국내 대형마트 2위 업체 홈플러스를 인수한 지 10년 만에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했다.

동북아시아 최대 사모펀드 운용사로 꼽히는 MBK는 지난 2015년 캐나다연금투자위원회(CPPIB), 캐나다공무원연금(PSP Investments), 테마섹(Temasek) 등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5조원 가량을 외부에서 조달해 7조2000억원에 홈플러스를 사들인 바 있다.

이후 인수 차입금 이자 등의 부담이 커지자 홈플러스는 자산매각에 들어갔고 신용등급은 줄줄이 떨어졌다.

국회는 막대한 차입금으로 기업을 사들인 뒤 알짜 자산 매각 등을 통해 투자금 회수를 극대화하는 과정을 따져 불법성을 점검할 것으로 보인다. 또 이사들의 부실 경영에 대한 책임도 들여다보기로 했다.

정무위 야당 간사인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전날 내일신문과의 통화에서 “홈플러스 사태가 이전 티메프 사태처럼 확산하는 것을 막으려는 게 이번 긴급 현안 질의의 목적”이라며 “홈플러스를 이런 식으로 만든 것에 대해 확인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MBK와 경영진의 모럴 해저드에 법의 철퇴를 내릴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며 “금융위 금감원 공정위가 자기 역할을 하도록 확인할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은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에 돌입하기 직전까지 법인은 물론 개인 투자자를 상대로 기업어음(CP)을 팔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며 “이는 사실상의 사기나 다름없는 행태”라고 했다.

이어 “사모펀드 MBK와 홈플러스 경영진의 심각한 모럴 해저드를 질타하는 한편, 사전에 감독했어야 할 정부 당국은 그동안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따져 묻지 않을 수 없다”며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에 돌입하면서 매출 대금을 받지 못한 입점업체들이 속출하는 것은 물론이고, 상품권 사용이 막힌 소비자들의 피해도 우려스럽다”고 했다. “기업회생을 핑계로 홈플러스를 산산조각 내고 먹튀 하려는 것이라면 절대 용납할 수 없다”며 “2012년에 부도 직전까지 CP를 판매한 LIG 건설이 사법처리 됐던 것처럼 MBK도 마땅히 사법처리 돼야 한다”고도 했다.

민병덕 의원은 “최대주주 MBK의 문제와 매출상승 중에 발생한 선제적 구조조정의 문제, 상품권 소비자의 문제, 노동자의 문제 등 결국 티메프 사태의 오프라인 버전”이라고 했다.

민주당은 지난 9일에 이어 오는 13일에도 홈플러스 노조, 점주들과 긴급 간담회를 갖고 현황 점검과 피해 예방 대책을 논의하기로 했다.

정무위는 이날 증인 명단을 확정한 뒤 18일 김 회장을 대상으로 홈플러스 사태 관련 배임 행위 여부를 집중적으로 질의할 예정이다.

박준규 기자 jkpark@naeil.com

박준규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