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조기대선 대비 ‘캐스팅보트’ 청년층 공략
12일 청년정책 간담회 … “대학장학금 확대 추진”
연금개혁에서도 ‘청년세대 위한 구조개혁’ 강조
2030세대, 국민의힘 vs 민주당 지지율 ‘유동적’
조기 대선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국민의힘은 2030 청년층 표심을 의식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연금개혁에 있어 ‘청년세대 부담 경감’을 강조했던 국민의힘은 12일 대학 장학금 혜택 확대 방안을 내놓으며 청년세대를 향한 구애 작전을 펴고 있다.
여당의 이러한 행보에는 2030 청년세대가 차기 대선에서 ‘캐스팅보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판단이 깔려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정당지지율 조사를 보면 4050세대는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지지가 확고하고, 6070세대는 국민의힘 지지가 두텁다. 반면 2030세대의 양당에 대한 지지는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조사 때마다 엎치락뒤치락하는 모습을 보인다. 2030의 선택에 따라 선거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얘기다.

지난 7일 한국갤럽이 발표한 3월 첫째주 20대의 정당지지율을 보면 국민의힘 27%, 민주당 26%였고 30대는 국민의힘 33%, 민주당 34%로 박빙을 이뤘다.(전국 만 18세 이상 1003명 대상 전화조사 인터뷰,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p, 자세한 내용은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정치성향별로 중도층이 캐스팅보트이듯 세대별로는 2030세대가 주요 변수가 될 수 있는 만큼 청년 정책에 공들이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지난달 연금개혁 청년 간담회를 개최한 국민의힘은 12일 ‘청년의 부담, 국민의힘이 덜어드리겠습니다’라는 이름의 청년 정책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간담회에서 권성동 원내대표는 “국민의힘은 청년의 편에 서겠다”면서 “기성세대 중심의 노동시장, 불공정한 연금제도, 창의와 도전을 가로막는 규제혁파를 통해서 구시대의 껍질들을 깨뜨리고 날개를 활짝 펼 수 있도록 힘이 되겠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대학생 총 등록금 대비 장학금 비율을 현재 60%에서 70%로 확대하고, 다자녀 가구에 대한 학자금 지원을 현행 ‘셋째 자녀 이상’에서 ‘둘째 자녀 이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는 청년들이 연 소득 500만원을 초과할 경우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을 상실하는 현행 규정을 개선하겠다고 약속했다.
지난달 25일 열린 연금개혁 청년 간담회에서는 청년세대를 위해 모수개혁에 그칠 것이 아니라 종합적인 구조개혁을 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권 원내대표는 “청년들은 가장 오랫동안 그리고 가장 많이 연금을 내야 하는 세대”라면서 “그렇기 때문에 우리 국민의힘은 2030 청년과 미래 세대에게 이익이 되는 연금계획을 추진하겠다는 기조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국민의힘과 민주당은 연금 모수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내는 돈)은 9%에서 13%로 올리기로 합의했지만 소득대체율(받는 돈)을 두고는 43%(국민의힘) 대 44%(민주당)로 줄다리기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은 “소득대체율 1%p 차이가 300조원의 추가 부담으로 이어진다”면서 “민주당이 강성 지지층의 기득권을 지켜주기 위해 연금개혁 같은 현안에서 청년들에게 부담을 전가하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최근 불거진 선거관리위원회 채용 비리 문제에 대해서도 국민의힘은 청년 채용 문제와 연결시켜 선관위를 질타하고 있다. 지난 3일 조용술 대변인 논평을 통해 “선관위에 들어가기 위해 수많은 청년이 1000대 1에 육박하는 살인적인 경쟁률을 뚫으려 필사적으로 노력한다”면서 “그러나 혈연과 인연만으로 선관위 자리를 차지하는 모습은 ‘신의 직장’을 넘어 ‘신도 놀랄 특권의 성역’이 됐다. 미래를 살아갈 청년들의 꿈을 짓밟고, 국민이 신뢰해 온 근본 가치를 배신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하지만 경기 침체로 청년층이 채용 한파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그동안 국민의힘이 추가경정예산 편성에 대해 선을 그어온 것은 아이러니다. 지난 11일 국무조정실이 낸 ‘2024년 청년의 삶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년층이 가장 바라는 삶의 요소는 ‘일자리’였다.
국민의힘은 그동안 ‘경기 활성화를 위해 신속한 추경이 필요하다’는 민주당의 요구에 대해 ‘예산 조기 집행이 먼저’라며 소극적 자세를 취해온 바 있다. 뒤늦게 추경에 대해 원칙적인 합의를 하기는 했지만 이마저도 국정협의회가 공전되면서 추경 편성의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박소원 기자 hopepark@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