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납품업체 피해 ‘대주주 사재’로 메우나
야, MBK 책임경영 요구 예고
정산주기 단축·고용안정 쟁점
18일 정무위, 20일 을지로위
민주당은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 대주주인 사모펀드 MBK파트너스에 납품업체 등의 손실이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대주주 사재출연 등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14일 민주당 민병덕 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 홈플러스 대책 TF는 홈플러스 경영진, 노동조합, 그리고 입점 피해 점주분들과 2차 간담회를 진행했다”며 “홈플러스로부터 1월 매출 대금이 입점업체들에게 지급 완료될 예정이며, 2월분은 3월 30일까지 모두 지급하겠다고 보고받았다”고 했다. 이어 “아직 결제 시스템 문제와 정산 주기에 대한 점주분들의 우려가 남아 있다”며 “이 문제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해결책을 모색해 나가겠다”고 했다. 민 의원은 국회 정무위원이면서 민주당 을지로위원장을 맡고 있다.
홈플러스는 협력사·임대매장(테넌트)에 줘야 할 정산금과 관련한 구체적인 지급 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 지급 계획에는 소상공인·영세업자·인건비성 회생채권 우선 지급, 대기업 채권 분할 상환, 대금 정산 지연에 따른 긴급자금 대출시 이자 지급 등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실현 가능성이다. 법원의 상거래채권 변제 허가에도 정산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제 사주를 바라볼 수밖에 없다”며 “MBK가 돈을 넣을 거냐 사재출연을 할 거냐는 등의 해결방안이 중요한 부분”이라고 했다.
민주당은 18일 정무위 전체회의 현안질의를 통해 MBK측에 대안마련을 요구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뚜렷한 해법이 제시되지 않을 경우엔 20일 을지로위원회 3차 간담회를 통해 압박하기로 했다. 민주당은 김광일 MBK 부회장 겸 홈플러스 사장을 불러 확답과 대안을 요구할 방침이다.
민주당은 티메프 사태 때와 비슷하게 정산주기가 너무 길어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해법을 찾아 나설 예정이다. 현재 법에 따르면 납품받아 판매한 경우 판매대금을 월 판매 마감일로부터 40일 이내, 직매입 거래의 경우 상품 수령일로부터 60일 이내다. 홈플러스는 대형마트 중에서도 정산 주기가 최대 45일로 가장 길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신건호 홈플러스 상무는 “납품 정산 주기를 단축하라는 지적을 공정위에서도 받았다”며 “실무적으로 정산 시스템을 보고 있는데 아직 의사결정은 못 받았다. 전체 조직원들에게 일률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 종합적으로 보고 추후에 다시 답변하겠다”고 했다.
또 MBK가 자구책으로 자산매각에 나설 경우 고용불안을 호소하는 목소리도 작지 않다. 국회 상임위(환노위)와 민주당에서는 ‘고용안정’을 MBK에 요구하는 방안을 주요 쟁점으로 다룰 것으로 예상된다.
박준규 기자 jkpark@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