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72% “가계형편 지난해보다 나빠져”
한국경제인협회 설문 조사 … “물가상승이 원인, 내년 더 어려울 듯”
국민 10명 중 7명은 가계경제가 지난해에 비해 나빠졌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상승을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했다. 또 국민 10명 중 6명은 내년에 가계경제 상황이 더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0일 "전국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민생경제 현황 및 전망’을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 71.5%는 가계경제가 1년 전보다 악화했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개선됐다는 응답은 28.5%였다.
가계경제가 얼마나 개선 또는 악화했는지 묻자 ‘20~30% 악화’가 26.4%로 가장 많았고 ‘0~10% 악화’(23.2%), ‘10~20% 악화’(21.5%), ‘0~10% 개선’(18.5%) 순이었다.
구간별 중간값을 기준으로 계산한 결과 가계경제가 평균 7.7%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어려움이 가장 큰 분야는 △물가 상승(71.9%)이 압도적이었고 △실질소득 감소(11.9%) △일자리 부족•불안정(9.5%)이 뒤를 이었다.
물가가 가장 크게 오른 부문으로 △식료품•외식비(72.0%)가 가장 많이 꼽혔고 △에너지 비용(11.0%) △주거비(4.5%) △공공요금(3.4%) 등 순이었다.
일자리•사업 안정성에 대해서는 △불안정 43.1% △안정적 26.5%였다. 보통은 30.4%였다.
내년도 전망에 대해선 ‘악화할 것’이 64.2%, ‘개선될 것’이 35.8%였다.
현재를 100으로 했을 때 향후 1년 후 가계경제 상황이 얼마나 개선 또는 악화될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서는 ‘10%~0%’ 악화의 응답비중이 25.1%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0%~10% 개선(응답비중 24.1%) △20%~10% 악화(20.9%) △30%~20% 악화(17.9%) 등의 순이었다. 이를 평균해보면 내년도 국민들의 가계경제 상황은 올해에 비해 5.2% 정도 악화될 것으로 인식됐다.
소득 전망은 ‘감소’ 52.1%, ‘증가’ 47.9%였다. 지출 전망은 ‘증가’ 54.2%, ‘감소’ 45.8%다. 가장 필요한 물가 정책은 △생필품 가격 안정화(58.4%) △에너지 가격 안정(13.9%) △취약계층 선별 지원(9.7%) △소비 관련 세금 감면(7.9%) 순이었다.

일자리 분야에서는 △취약계층 맞춤형 일자리 지원(24.6%) △미래 유망산업 인력 양성 및 일자리 창출 지원(17.3%) △재취업·직무 전환 지원 강화(16.8%) △노동시장 유연성·공정성 확보(14.0%) 등의 순이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장기간의 경기침체와 고물가로 국민들의 가계형편이 매우 어려워지고 있다”며 “민생경제 안정을 위해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으로 투자와 고용확대를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성수 기자 ssgo@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