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민감국가 삭제안되면 대안 마련”

2025-03-21 13:00:02 게재

산업부 장관 방미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0일(현지시간) 미국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 리스트에 포함시킨 것과 관련 “최대한 민감 국가 목록에서 삭제하는 방향으로 협의하겠지만 그게 안될 경우 건설적 대안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미국을 방문한 안 장관은 이날 워싱턴DC 인근 덜레스공항에서 한국 언론 특파원들과 만나 “한미간 과학기술 및 산업 협력을 하는 데 장애가 되지 않도록 최선의 방안을 찾아보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한국에 대한 민감국가 목록추가가 효력을 발휘하는 4월 15일 이전 해제 가능성에 대해서는 “정확한 상황을 좀 파악해 봐야 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지난달 말 미국을 방문했던 안 장관은 이날 3주 만에 다시 방미했다. 그는 이날 오후 크리스 라이트 미국 에너지부 장관을, 21일에는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과 각각 면담할 예정이다.

안 장관은 미국의 민감국가 목록에서 한국이 빠지지 않을 경우 대안을 묻는 말에 “그쪽(미국)에서 절차적인 문제라고 얘기하고 있다”면서 “그런 절차부분을 최대한 문제가 되지 않는 방향으로 해결하도록 대안을 찾아보려고 계획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안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4월 2일 상호 관세 발표를 예고한 것과 관련해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이후 양국간 관세는 사실상 없다”라며 “그런데 여러 비관세 문제가 제기되는 것들이 좀 있어서 국내에서 신속하게 해결하고 있는 부분들이 있다”고 소개했다.

상호 관세의 주요 타킷으로 지목된 이른바 ‘더티 15(Dirty 15)’에 한국이 포함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예단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고 밝혔다.

그는 “트럼프 정부의 관세 조치를 보면 어떤 특정 국가에 대해서 예외를 한다거나 유예한다는 부분은 많지 않다”며 “일단 기본 조치를 시행하고 나서 추후 상황을 봐서 조금씩 수정을 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고 전했다.

단판 승부가 아니라 트럼프 정부 임기 내내 양국간 교역의 틀을 계속 만들어가야 하는 과정이라는 설명이다.

안 장관은 한미간 에너지 협력 문제에 대해서는 “수입산 다변화라는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미국과 에너지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부분이 많이 있다”면서 “에너지부 장관을 만나 구체적인 협력사안에 대해서 협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재호 기자·연합뉴스 jhlee@naeil.com

이재호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