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고위공직자 재산신고 1위는 누구?
건설사 사위 최지영 국제경제관리관 410억 신고 … 배우자 주식만 363억
최지영 기획재정부 국제경제관리관(차관보·1급)가 기획재정부 고위공직자 중 재산 1위를 지켰다. 다만 지난해에 비해 83억60000만원이 줄었다.
410억원의 재산을 신고한 최 관리관은 전체 공개 대상 고위공직자 중 이세웅 평안북도지사(1046억원), 조성명 강남구청장(482억원), 변필건 법무부 기획조정실장(477억원)에 이어 네번째로 재산이 많았다.
27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2025년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사항’에 따르면 최 차관보는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아파트 등 건물(40억5000만원), 예금(5억9000만원), 배우자 소유 증권(363억4000만원) 등을 재산으로 신고했다.
재산이 급감한 이유는 배우자 소유 비상장주식(제일풍경채·풍경채) 가액이 81억8000만원 하락했기 때문이다. 최근 건설경기 부진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최 차관보의 장인은 중견건설사인 제일건설의 최대주주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44억60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전년(42억7000만원)보다 1억9000만원가량 늘었다.
최 부총리의 재산은 지난 2023년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 당시 40억2000만원을 신고한 이후 부터 매해 2억원 안팎 늘어나고 있다. 최 부총리는 18억원 규모의 예금과 7억원 상당의 증권을 보유했다.
전년 대비 2억31000만원가량 늘어난 규모다. 또 본인 명의로 2억4000만원, 배우자 명의로 2억원 규모의 국고채를 보유하고 있다.
강영규 대변인(1급)은 서울 송파구 잠실동 아파트(22억2000만원), 예금(16억2000만원), 주식(2억원) 등 지난해보다 3200만원 증가한 50억50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김진명 기획조정실장은 재산 내역이 세종 한솔동 아파트(4억5500만원), 예금(8억5500만원), 모친 소유 토지(1억1000만원) 등 15억8000만원으로 지난해보다 1억6000만원 증가했다.
정정훈 세제실장은 서울 서초구 반포동 아파트(23억5000만원), 방배동 근린생활시설(6억4000만원), 예금(15억8000만원) 등 45억9000만원을 신고했다.
지난해보다 3억6000만원 가량 재산이 늘었다. 김동일 예산실장은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아파트(14억2000만원), 예금(7억원), 합명·합자·유한회사 출자지분(2억원) 등 27억2000만원의 재산을 신고해 지난해보다 5억원 증가했다.
윤인대 차관보는 서울 종로구 사직동 건물(13억원), 예금(11억1000만원), 등 전년보다 1000만원 증가한 25억3000만원을 신고했다.
안상열 재정관리관의 재산은 안양시 동안구 평촌동 아파트(6억6000만원), 세종 한솔동 아파트(3억원), 안산시 상가 건물, 예금(5억6000만원), 증권(1억6000만원) 등 32억6000만원으로 지난해보다 1억5000만원 감소했다.
성홍식 기자 king@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