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관세 최대 피해자는 미국 소비자”

2025-04-03 13:00:06 게재

가구당 연 5200달러 부담 보복전땐 미 수출 67% ↓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로 미국 소비자들이 가장 큰 피해자가 될 것이란 전망들이 나오고 있다. 사진은 지난달 2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의 한 매장에서 한 소비자가 식료품을 고르는 모습. 연합=신화통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전세계 무역 상대국을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발표한 가운데 가장 큰 피해자는 미국 소비자라며 미국 내에서도 우려가 나오고 있다.

미 경제 매체 CNBC 방송은 “일부 경제학자들은 관세율 인상이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면서 “보스턴 연방준비은행이 최근 구축한 한 모델에 따르면 극단적 상황을 가정하면 수입품에 대한 높은 세금이 핵심 인플레이션을 1.4~2.2%포인트까지 인상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지난 2월 예일대 예산연구소는 미국이 다른 국가의 관세 및 부가가치세(VAT) 수준에 맞출 경우 미국의 실질 관세율은 13%포인트 상승하고 소비자 물가는 1.7~2.1%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물가 상승은 신규 주택과 자동차뿐만 아니라 대중교통, 금융 등 소비자 서비스 전반에 확산할 수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는 보도했다

미국진보센터(Center for American Progress)는 앞서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미국 가구당 평균 연간 5200달러의 부담을 줄 것이라고 추정했다. 블룸버그 통신도 트럼프 관세로 “부유층보다 지출의 더 많은 부분을 상품 구매에 쓰고 저렴한 수입품을 선호하는 저소득 가구가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물가는 들썩일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 2월 미 거주자들이 상품과 서비스 구매 시 지불하는 가격을 측정하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5%, 전월 대비 0.3% 상승했다. 그러나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2.8%로 1월(2.7%)보다 확대됐다.

미국 경제의 근간인 소비지출도 위축 중이다. 2월 명목 개인소비지출은 전월 대비 0.4%로 증가해 전문가 전망(0.5%)을 밑돌았다. 물가를 고려한 실질 증가율은 전월 대비 0.1%에 그쳤다.

3월 소비자신뢰지수는 92.9(1985년=100 기준)로 2월(100.1) 대비 7.2포인트 하락했다. 2021년 1월 이후 4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CNN 방송은 “소비자 지출은 미국 경제 활동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한다”며 “이 엔진이 멈추면 경제적 여파가 급속도로 확산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미국의 조세 분야 싱크탱크 택스 파운데이션의 보고서는 최근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에 대한 관세와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 등으로 미국 국내총생산(GDP) 0.4% 줄고, 일자리가 30만개 이상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2026년 미국인의 가처분 소득이 평균 1.0% 줄어들 것으로 보고서는 예상했다.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한 상호 관세로 가처분 소득은 더 줄어들 수 있고, 미국이 가장 큰 수출 감소 피해를 볼 수도 있다. FT는 미국의 상호 부과에 대해 같은 수준의 보복 관세 조치가 나오면 미국 수출이 66.2% 감소해 전 세계에서 피해가 가장 클 것으로 전망했다.

이주영 기자 123@naeil.com

이주영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