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작전헬기 12대도 해외구매"
방사청, 박근혜 대통령에 보고 … 여야 의원 "수리온 기반 국내개발해야" 반발
정부 고위관계자는 "소요군의 요구와 항공대의 선행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잔여분도 해외에서 구매할 방침"이라면서 "수리온은 본래 육상용으로 개발했기 때문에 무게중심이 불안하고, 메인로터를 수동으로 하면 안전에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난해 국회 국방위 소속 민주당 백군기 의원에 이어 새누리당 김종태 의원이 한국형 기동헬기인 수리온 기반 연구개발을 주장하는 토론회를 22일 국회에서 개최, 방사청의 해외구매 추진에 제동을 걸고 있어 주목되고 있다.
특히 해상작전헬기는 후속 소요가 수십대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돼 국내개발의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2차분 12대 외에도 신규 확보 이지스함 3척에 6대, 차기 구축함(KDDX) 6척에 12대, 현재 운용중인 링스헬기 교체전력 24대 등 추가분이 최대 42대에 이른다.
2011년 8월 방추위는 차기호위함(FFX) 탑재 해상작전헬기 20대 가운데 8대는 해외구매로 추진하되, 나머지 12대는 수리온의 기술성숙도 등을 판단, 국내개발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1차분은 소형급 헬기인 와일드캣(AW-159)을 지난해 1월 선정했다.
이에 따라 항공대가 수리온 기반 개발 가능성을 검증하는 선행연구를 지난해 상반기에 수행, KAI의 미성숙기술이 6개에 이르기 때문에 국내 연구개발은 △전력화 일정이 4년 지연되며 △사업비는 1조1972억~1조2800억원으로 추산돼 경제성이 떨어진다고 결론지었다.
수리온 생산업체인 KAI는 이같은 선행연구결과에 대해 미성숙기술은 세계 최대 헬기제작업체인 유로콥터, 이스라엘 전투체계 통합업체인 엘빗시스템과 공동개발을 2010년 6월 약정, 국제협력생산으로 해결이 가능하다고 맞서고 있다.
또 KAI는 수리온 개조개발에 54개월이 소요돼 2019년 적기 전력화가 가능하며, 개발비 4120억원을 포함해 9460억원 가량의 사업비가 추산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해상작전헬기 총사업비는 1조4084억원으로, 1차분 4437억원을 빼면 2차 사업비는 9647억원이다.
소요군인 해군은 중형급 헬기인 수리온 개조방안에 대해 "메인로터 회전 직경이 함정 비행갑판 폭보다 길어 수동접힘이 제한되고, 접는 작업을 할 때 작업자의 안전에 문제가 있다"고 자동접힘 기능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KAI 관계자는 "자동접힘 기능을 보유한 NH-90 헬기 제작업체인 유로콥터와 협력을 통해 개발이 가능하다"면서 "먼저 반자동을 적용한 뒤에 후속 소요에 자동기능을 적용하겠다"고 제안했다.
해군 차기호위함에 탑재하는 해상작전헬기는 대잠·대함·해상초계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8대 도입하는 1차분 와일드캣은 대잠 임무수행을 할 때 작전시간이 30여분에 불과, 논란이 됐다. 해군은 MH-60R 대잠헬기의 도입을 선호하고 있으나, 사업비가 관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