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20
2024
박형준 부산시장을 비롯한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장들이 의료계의 집단휴진 논의를 중단해 달라고 요청하고 나섰다. 시·도지사들은 19일 ‘의료체계 안정과 국민건강 확보를 위한 공동호소문’을 통해 “우리사회의 핵심 의료인이자 전공의 및 의대생들의 스승이신 의과대학과 대학병원의 교수들은 의료현장에 계셔야 한다”며 의료계에 집단휴진 및 집단휴진 논의 중단을
정부의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 처분에 대한 집행정지 신청이 대법원에서 최종 기각됐다. 하지만 의료계는 ‘남아있는 소송들에 집중해 승소하겠다’며 희망의 끈을 놓지 않았다. 대법원 특별2부(주심 신숙희 대법관)는 19일 교수, 전공의, 의대생, 수험생 등 18명이 보건복지부와 교육부 장관을 상대로 “입학정원 증원 처분 등을 취소해달라”고 낸 소송의
있다. 의사협회(의협)는 20일 오후 정부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범의료계 대책위원회(범대위)의 윤곽을 공개한다. 범대위에는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 등 의대 교수 단체가 동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의사협회 중심의 대정부 반대활동이 힘을 받을지 의문이다. 사태 발단을 제공한 전공의들은 참여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박 단
06.19
의과대학을 운영하는 대학 총장들이 정부에 의대생·대학·학부모 등이 참여하는 ‘끝장 토론’을 제안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의대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는 19일 인천 그랜드 하얏트 인천호텔에서 긴급 회의를 열고 의대생 복귀 관련 사안을 논의했다. 홍원화 의총협 회장(경북대 총장)은 회의 직후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의대생 집단유급 및 휴학계 제출과
많아졌다”며 “성균관대의 다군 선발 이후 다른 대학들도 다군 선발을 긍정적으로 검토한 것 같아 다군에 상위권 대학이 많아지면서 경쟁률, 충원율, 합격선 등의 변화가 예상된다”고 전한다. ◆무전공 확대로 예측하는 2025 대입 경쟁률, 합격선 = 2025 대입은 무전공 선발 확대와 의대 증원 등의 이슈가 맞물리면서 예측이 쉽지 않다. 그럼에도 무전공 확대가
‘의대 증원’ 등에 반대하며 18일 하루 집단휴진과 대규모 집회를 벌인 의사들이 향후 대정부 투쟁을 위한 논의를 이어간다. 사실상 장기전을 준비하는 모양새다. 19일 의료계에 따르면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이날 오후 대한의학회,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 전국의과대학교수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 서울의대 비대위 대표자 등과 함께 연석회의를 연다
06.18
, 2025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과 모집 요강이 발표되면서, 의대증원 절차가 최종 마무리됐다. 그런데도 어제 일부 의대 교수들의 집단 휴진이 있었고, 오늘은 의사협회의 불법적인 진료 거부가 진행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진정한 의료개혁을 이루려면 의료계의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국민이 동의하지 않고, 실현도 불가능한 주장을 고집하면, 모두가 피해자가 될
의사협회 등에 따르면 이날 휴진하겠다고 신고한 곳은 총3만6371개 의료기관 중 4.02% 정도였다. 이 정도로만 참여한다면 역대 최저 집단행동 참여율이 속하겠지만 의협 측 휴진 투표에서는 절반이상이 휴진을 지지한다고 나왔기 때문에 신고율보다 높게 휴진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 의협은 전날 “16일 의대정원 증원 재논의 등 3개 요구안을 정부에 제시했지만
, 서울시보라매병원, 강남센터 등 4개 병원에서 집단 휴진에 돌입한 서울대 의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17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 의과대학 융합관에서 집회를 열고 결속을 다졌다. 이날 강희경 비대위원장은 “일주일 동안 400~500명의 교수가 외래와 수술 일정을 조정한 결과 이번 주 수술 건수가 이전의 60% 정도에서 30%로 조절됐다”면서 “정부 정책이 결코
06.17
복귀 전공의들에 대해 어떤 불이익도 없을 것임을 명확하게 약속했다”면서 “헌법과 법률에 따른 조치를 시간을 거슬러 아예 없었던 일로 만들라는 말은 몇 번을 고심해도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의대 정원 증원 백지화 수용 불가 입장을 거듭 밝혔다. 이어 “정부는 모든 대화에 열려 있고 항상 준비되어 있다”며 “의료개혁의 틀 안에 들어와 의료개혁의 브레인이 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