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25
2024
윤석열 대통령이 의사 집단행동 사태 해소의 물꼬를 텄다. 총선을 앞둔 위기관리라는 시각이 많다. 이제는 정부가 의대 증원 2000명 기조를 관철시킬 수 있을지 촉각이 모인다. 윤 대통령은 현장이탈 전공의 면허정지 처분 시한 하루 전인 24일, 한덕수 국무총리에게 “당과 협의해 유연한 처리 방안을 모색해 달라”고 당부했다. “의료인과 건설적 협의체를
의대 교수들이 당초 밝혔던 대로 25일 집단 사직서를 제출하기로 했다. 다만, 교수들이 사직서가 수리될 때까지는 진료하겠다고 밝힌 상태라 당장 의료 현장에 대혼란이 발생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전국 의과대학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와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 등 교수 단체들에 따르면 이날 고려대를 시작으로 의대 교수들의 사직서 제출이
내년부터 전국 의과대학의 정원이 최대 4배까지 늘어나면서 일부 대학이 ‘의학교육 평가인증’ 탈락 가능성이 제기됐다. 현재 여건으로는 2000명 증원이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 한국의학교육평가원(평가원)이 24일 성명을 내고 “대규모 의대 증원으로 의학교육의 퇴보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평가원은 “국무총리 담화문과 교육부 장관의 입학정원 배분안 발표
’ 구성을 제안해왔다”며 “의료현장의 당사자인 보건의료노조, 건보노조를 비롯해 의대교수비대위도 국민이 함께하는 대화협의체를 제안했고, 더불어민주연합도 의·민·당·정 의료개혁 4자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각계 각층에서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협의체를 제안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상하게도 의사, 정부, 여당만이 국민을 외면하고 있다”며 “또다시
있다. ‘민생 앞으로’를 구호로 정책과 민생 위주의 선거전략으로 바꿔 나간다는 구상이다. 한동훈 위원장이 의대정원 확대에 따른 갈등중재자를 자처하고 나선 것이 대표적이다. 민심의 요구를 수용해 이종섭 호주 대사 조기 귀국, 황상무 전 수석 사퇴 등을 요구해 성과를 거뒀다고 보고 의대정원 논란 등 핵심 민생이슈 논란 해소로 이어가겠다는 구상이다. 고물가
의대교수들이 25일 무더기로 사직서를 제출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정부와 의대교수들 사이에 대화가 시작된다. 의대교수들은 사직서를 제출하지만 사직서 수리 때까지 진료는 계속한다는 입장이어서 당장 의료현장에서 극심한 혼란은 없을 듯하다. 정부와 의사단체 간 진지한 대화가 이뤄지길 환자단체는 호소하고
03.22
‘의대 2000명 증원’으로 촉발된 의정갈등이 정부가 대학별 배분 결정을 발표하면서 2라운드에 접어들었다. 의대 교수들은 각 대학별로 사직서를 제출하기로 한 오는 25일부터 근무 시간을 법정 근로시간인 주 52시간으로 줄이기로 했다. 또 다음달 1일부터 외래 진료를 최소화해 중증·응급 환자 치료에 더욱 집중하기로 했다. 정부가 대학별 의대 입학정원을
국립중앙의료원에 ‘시니어의사 지원센터’를 열어, 시니어의사를 새롭게 채용하거나 퇴직 예정 의사를 계속 고용하는 의료기관과 연계하고 지원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한 총리는 비수도권과 국립대 의대 중심의 정원배정은 “앞으로 ‘지역완결형 의료체계’를 구축하는 근간이 될 것”이라며 “증원으로 인해 의학 교육의 질이 떨어지지 않고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빈틈없이
아산사회복지재단(이사장 정몽준)은 21일 서울시 용산구 그랜드하얏트서울에서 제17회 아산의학상 시상식을 열었다. 기초의학부문 수상자 이창준(58세) 기초과학연구원 생명과학 연구클러스터 연구소장과 임상의학부문 수상자 김원영(50세) 울산대 의대 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교수에게 각각 3억원 상금을 수여했다
. 의료개혁특별위원회는 “27년 만에 의대 정원이 확대됐으나 정부와 의사들 간 ‘벼랑 끝 대치’로 환자들은 고통받고 국민은 불안해 하는 상황”이라며 “ 더 중요하고 핵심적인 것은 ‘의료개혁’으로 환자 피해와 국민 불안을 해소하고 ‘국민 중심 의료개혁’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사회적 대화와 타협의 장이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의료개혁특위는 국민·의료계·정당·정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