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3
2024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해 대학생의 66%가 부정적인 평가를 하고 37% 가량은 의대 증원에 대해 “과학적 근거가 없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대학신문이 9월 27일부터 10월 5일까지 전국 대학생 127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전자우편으로 ‘전국 대학생 의식조사’를 실시한 결과(신뢰수준은
10.22
중 2명이 심사에 동의했다. 후보 중에는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의 이혼소송 항소심 재판장을 맡았던 김시철(사법연수원 19기) 서울고법 부장판사와 의대증원 집행정지 신청을 기각한 구회근(22기) 서울고법 부장판사가 포함됐다. 대법원 수석재판연구관을 지낸 마용주(23기) 서울고법 부장판사와 황진구(24기) 서울고법 부장판사도
10.21
육성의 근거가 될 기본법이 국회에 몇년째 묶여 있다. 미국·중국과의 AI기술 격차를 따라잡으려면 기초연구를 강화해야 하는데 대학입시에서 의대쏠림이 지나치고 애써 키운 인재들은 한국을 떠난다. 노벨상 수상자라고 세상이 놀랄 것을 찾아내라는 법은 없다. 이들이 한국경제에 안긴 숙제들도 대부분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것들이다. 관건은 이런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10.18
아니겠냐”고 말했다. 윤 대통령과 한 대표의 만남이 이뤄지더라도 여당 쪽에서 바라는 정도의 큰 폭의 쇄신이 이뤄지기 어렵다는 ‘예고편’을 내놓은 것 아니냐는 해석이다. 17일 강원도에서 열린 바르게살기운동 전국회원대회를 찾은 윤 대통령은 4대 개혁 완수를 재차 강조했다. 같은 시간 대통령실에선 고위 관계자가 기자들과 만나 의대정원 2000명 증원의 정당성을
10.17
전국지방선거에서 보수 진영이 서울에서 더 많은 표를 확보했지만 최근 지지율 최저를 기록 중인 정부·여당에 대한 반감도 반영됐을 것이라는 평가도 있다. 정부의 의대 증원에 따른 의정갈등 장기화, 이에 따른 대입 불확실성 확대 등 교육 환경 변화도 표심에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정 당선인은 독자 출마에 나섰던 최보선 후보와 막판 단일화에 성공해 민주진보 진영의
10.16
의대 증원 관련 의료계 집단행동에 동참하지 않은 의사 명단을 만들어 인터넷에 게시한 사직 전공의가 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겨졌다.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공공수사3부(김태훈 부장검사)는 사직 전공의 정 모씨를 스토킹범죄처벌법 위반 혐의로 구속기소했다고 15일 밝혔다. 정씨는 지난 6~9월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하는 의료계 집단행동에 동참하지 않은
의대생 대규모 휴학 승인과 관련해 서울대는 ‘의대 학장의 권한’이라는 입장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반면 강원대는 의대 학장 전결로 됐던 휴학 승인권을 총장 권한으로 회수해 학내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유홍림 서울대 총장은 15일 이 대학 의대의 대거 휴학 승인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 “총장이 학생 휴학까지 승인하는 형태로 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10.15
의대 증원 정책에 대한 반발로 의과대학생 출신들의 인턴 실습 역시 파행을 빚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정부의 의대증원 준비는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15일 국회 교육위원회 진선미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강동구갑)이 경북대, 경상국립대, 전남대, 제주대, 충남대 등 5개 비수도권 거점국립대에서 받은 자료더 보면 3명만이 연계
최근 3년여간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의대 진학을 위해 자퇴한 학생이 182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에는 석·박사 과정에서 학위를 포기한 경우도 있었다 . 15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황정아 의원(더불어민주당·대전 유성구을)이 KAIST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올해 10월 4일까지 의·치학 대학 진학을 사유로
10.08
의과대학생 가운데 입대로 휴학한 학생이 1000명을 넘어선 것으로 파악됐다. 대부분은 증원 정책에 반발해 학교를 떠난 상태에서 군의관을 포기하고 현역 입대를 선택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런 가운데 정부의 ‘조건부 휴학 승인’에 대한 의대생과 의료계의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8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교육부에서 받은 ‘전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