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이해식 서울 강동구청장
"주민 얘기에 귀 기울이면 정책"
'분권=주민이 해결'
"궁극적으로 중요한 건 주민 의견이죠. '문제도 답도 현장에 있다'고들 하잖아요? 주민들에 귀 기울이다 보면 해결책이 나와요."
이해식(사진) 서울 강동구청장은 "소통이 가장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먹거리에서 출발해 도시텃밭 도시농업으로 행정영역에서 제도화하고 도농상생까지 발전시켜온 과정만 해도 그랬다. 연일 언론을 달구는 광우병이나 멜라닌 분유 문제를 그저 '뉴스'로만 흘려듣지 않았다. 다른 동네에서 발생한 급식비리며 식중독 사고라고 치부해버리지도 않았다. 이해식 구청장은 "관심이 없으면 뉴스가 보도될 때마다 혀를 차는 걸로 끝났을 것"이라며 "주민들 불안감을 달랠 수 있도록 행정에서 어떻게 해야할 지 고민했고 주민들 제안을 듣고 단계별 해법을 찾았다"고 설명했다. 그만큼 주민 호응이 컸고 빠르게 정책이 자리잡아 다음 단계로 쉽게 나아갈 수 있었다.
"국민소득 2만 달러 시대라고 해서 그에 맞는 정책을 따로 고민하고 하지는 않았어요. 지속가능성에 대한 원칙만 갖고 있었을 뿐이죠."
이해식 구청장은 "(지역문제는) 결국 주민들이 해결하는 것"이라며 "그것이 곧 분권이고 그 총합이 국가적 역량"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중앙정부에서 획일화하면 지방자치단체나 공무원은 오히려 편하다"며 "중앙정부가 특히 서울시 자치구에는 하는 일이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강동구에서 발전시켜온 도시농업 역시 현행 법·제도에 부닥친 참이다. 이해식 구청장은 "도시농업이 지속가능성을 가지려면 공공영역 주도에서 민간주도로 전환해야 한다"며 "공공에서 텃밭을 조성해 저렴하게 혹은 무상으로 민간에 대여, 운영경비만 해결하도록 하면 되는데 현재는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영국의 경우 도시 영농법인에서 국공유지를 활용해 농사를 짓고 기업 기부금 등으로 경비를 충당한다"며 "기업의 사회공헌이 도시농업 분야에도 확대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해식 구청장은 "지난 10년 경험과 성과를 바탕으로 도시농업 발전방향을 새롭게 설정할 계획"이라며 "전문 연구기관과 협조해 장기발전계획을 마련하고 구와 도시농업단체 도시농부 연계망을 활성화해 민간이 주도하는 지속가능한 도시농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신년기획 다산에게 길을 묻다│서울 강동구 '도시농업' 제5회 다산목민대상 수상] 텃밭농사에서 '안전한 먹거리' 해법 찾다
▶ [새 대표정책 │동물복지] 길고양이 민원이 반려동물 사업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