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포커스 | 180석 거대여당 지도부 재편 관전법
의장-원대-당권-대권 모두 '친문' 싹쓸이?
총선결과 '문재인정부 지원' 해석 지배적
당권-대권 분리 최대 관심 … "균형감 필요"
21대 총선에서 대패한 미래통합당의 지도부 공백상태가 지속되는 가운데 사실상 180석을 확보한 더불어민주당이 본격적으로 지도부 개편작업에 들어갔다.
다음달에 원내대표와 국회의장후보, 국회부의장 후보를 뽑고 두 달 후인 8월엔 신임 당대표 선거가 예정돼 있다. 당대표 선거는 2년 후에 치러질 대선주자를 수면 위로 끌어올릴 전망이다.
친문과 비문 경쟁 구도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 당권과 대권의 분리여부 역시 중요한 포인트다. 새롭게 국회로 들어온 신인 당선인 68명의 선택도 관심대상이다.
24일 국회 사무처에 따르면 20대 국회의원 중 살아남은 재선 이상의 의원은 40명이다. 5선인 박병석 의원이 6선을 예약해놨다. 5선에는 김진표 변재일 설훈 송영길 안민석 이상민 조정식 의원 등 7명이 들어섰다. 4선에 오른 의원은 무려 11명이다. 김상희 김영주 김태년 노웅래 안규백 우상호 우원식 윤호중 이인영 정성호 홍영표 의원이다.
3선 의원 명단에는 김경협 김민기 남인순 도종환 민홍철 박광온 박범계 박완주 박홍근 서영교 윤관석 윤후덕 이개호 이원욱 이학영 인재근 전해철 전해숙 진선미 한정애 홍익표 등 21명 의원이 이름을 올렸다.
이낙연 전 총리도 4선에 올랐다. 보통 3선 이상의 의원은 중진으로 불린다. 국회의장, 부의장, 원내대표 후보자격은 국회의원 신분이 있어야 주어진다.
국회의장 부의장 원내대표 선거는 국회의원(당선인)들의 투표로 이뤄져 예상하기가 매우 어려운 선거 중 하나로 꼽힌다. 인사치레로 '찍어준다'고 하는 사람과 투표장에서 '실제 찍는 사람'이 크게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 연설이나 태도에 입장을 바꾸는 의원들도 적지 않다. 결선투표까지 고려하면 막판까지 속단할 수 없다.
특히 '정당정치'에 익숙하지 않은 초선의원들의 표심이 주요 변수가 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무게중심은 '친문'에 쏠려 있다. 유례없는 '180석 압승'에 대한 평가를 코로나19 대응과 후속대책, 검찰개혁 등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과제 완수로 보는 시각이 많다.
모 중진의원은 "총선결과는 문재인 대통령을 지원하라는 것"이라며 "180석의 국회 운영은 청와대와 잘 맞는 사람에게 맡겨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모 초선의원도 같은 맥락의 얘기를 했다.
국회의장 후보로는 친문성향의 6선 박병석 의원과 5선 김진표 의원의 경쟁이 유력해 보인다. 부의장 자리는 5선에서 가져갈 가능성이 높다. 국회의장과 부의장에겐 실권이 많지 않지만 지난해 패스트트랙에서 보여준 문희상 의장의 역할을 생각하면 결정적일 때 절실하다. 특히 의사일정을 정하고 본회의를 진행할 때는 의장에게 속한 조그마한 권한이 힘을 발휘하기도 했다.
원내대표 선거 역시 같은 맥락에서 친문후보가 강세를 띨 전망이다. 김태년 전해철 윤호중 의원의 단일화 가능성이 제기된다. 비문계에 속하면서도 문재인정부의 정책지원과 대야 협상에서 적극성과 균형감을 인정받은 조정식 의원과 정성호 의원 등도 물망에 올라있다. 이외에도 도전자들이 늘고 있다.
당대표와 대선주자를 가를 당대표 선거는 당헌당규에서 규정하고 있는 '당권-대권 분리' 조항을 바꿀 것이냐가 관건인다. 대선 주자를 뺀 당대표 후보군이 '풍요 속 빈곤'이라는 지적이 나오면서 당권-대선주자의 분리 시점을 내년 3월로 미루는 방안 등이 제기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일부 대선주자를 위한 배려라는 비판도 있다. 원내대표 선거 이후 최대 당내 쟁점이 될 전망이다.
원내대표는 180석 대표로 21대 첫 1년간 원내사령탑으로 막강한 권한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다. 임기 2년의 당대표가 임명된다면 내년 3월 재보궐선거, 2년후 대선과 지방선거 공천권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관심대상이다.
민주당 모 중진의원은 "친문일색으로 당을 운영할 경우에 균형감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면서 "원내대표-당대표-대선주자가 친문계로 싹쓸이 될 수도 있지만 이럴 경우의 문제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