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27주년 기획-광장열기 뉴미디어로 확산 | ① 선거 승부 인터넷이 가른다
20~50대 60%이상 "총선후보 정보, 인터넷에서"
국회의원 유튜브 열풍, 정당 유튜브채널 운영
"유권자와 상시 소통 … 정치인, 정보 생산주체"
유권자들의 정치에 대한 생산과 소비를 유튜브, 사회연계망(SNS)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연령대로 보면 뉴미디어 영향이 20~40대에서 50대, 60대까지 확대되는 분위기다.
13일 중앙선관위의 '21대 총선 유권자 의식조사'에 따르면 인터넷과 SNS를 통해 총선후보 선택정보를 얻었다는 대답은 31.2%로 언론보도(23.9%)나 후보자 선거홍보물(18.6%), 선거벽보 선거공보(9.6%), TV토론(7.6%)을 크게 앞질렀다.
연령별로 보면 나이가 적을수록 기존 언론매체의 영향이 크게 줄어든 반면 인터넷과 SNS의 영향력은 막강해졌다. 20대(18~29세), 30대, 40대는 각각 44.1%, 43.5%, 41.6%가 인터넷과 SNS로 후보에 대한 정보를 확보했다고 답했다. 언론매체를 후보 선택 경로로 지목한 비율은 10%대(20대 13.5%, 30대 15.9%, 40대 15.4%)에 그쳤다.
4.15 총선 20여일 전인 3월 23~24일에 조사한 1차 설문결과에서는 후보자 선택에 필요한 정보 취득 매체만 따져볼 때 '포털, 홈페이지 등 인터넷'(43.4%)과 SNS(9.3%)의 영향력이 52.7%로 절반이상을 차지했다. TV(30.9%), 신문(3.9%), 라디오(1.2%) 등 기존 언론매체는 36.0%에 머물렀다. 20대 총선의 1차 조사때에는 인터넷과 SNS의 영향력이 42.1%(인터넷 34.6%, SNS 7.5%)로 40.3%인 기존 언론매체(TV 30.5%, 신문 8.5%, 라디오 1.3%)에 밀렸다.
◆고령층도 유튜브 관심 많아 = 연령별로 보면 20~40대까지는 인터넷·SNS의 영향력이 강력했다. 20대의 74.2%가 후보 선택 경로를 지목, TV 신문 등 기존 언론매체(17.3%)를 크게 앞질렀다. 30대는 후보선택 경로로 67.2%가 인터넷·SNS를, 26.1%가 기존 언론매체를 지목했다. 40대는 후보를 선택하는 데에 접한 경로와 관련해 인터넷·SNS와 기존 언론매체를 선택한 비율이 각각 66.0%, 24.3%였고 50대는 46.9%, 41.3%였다. 60대 역시 인터넷과 SNS 영향력이 기존매체(52.4%)에 미치지 못했으나 31.7%에 달했다. 70세 이상에서도 16.5%가 인터넷과 SNS를 통해 후보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권자들이 정치 소비자이면서 정치 참여자로 확산되는 분위기다. 국회 입법조사처 최진응 입법조사관(정치학 박사)는 '유튜브 선거운동의 법적 규제 현황 및 개선 과제'를 통해 "모바일 이용의 대중화와 무료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유튜브는 해외뿐만 아니라 국내 인터넷시장에서 점유율을 크게 확대하고 있다"며 "유튜브의 국내 사용자수(2019년 11월 기준, 와이즈앱와이즈리테일 자료)는 3340만 명으로 카카오톡(3656만 명)에 이어 2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또 "이용자가 실제 사용한 시간을 기준으로 해도 유튜브의 1인당 월 사용 시간은 442분으로서 국내 이용자가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온라인플랫폼으로 조사됐다"고도 했다.
◆달라지는 정치권 = 정치정보 소비자들의 패턴이 달라지다보니 정치권에서도 변화가 일고 있다. 정치활동을 알리는 수단이 인터넷 사이트, 블로그·카페, SNS(페이스북, 트위터 등), 모바일메신저(카카오톡 등)와 함께 최근에는 유튜브 동영상으로 확산되고 있다. 기존 매체와 달리 규제가 매우 약한 글로벌 온라인플랫폼인 유튜브 소비가 급증한 영향이 크다.
우선 국회의원들의 페이스북에 이어 유튜브 계정 개설이 빠르게 확산돼 '없는 의원이 없을 정도'다. 제주대 언론홍보학과 박사과정에 있는 원성심씨의 지난해 10월 논문에 따르면 20대 국회의원 81.8%(297명 중 243명)가 유튜브 계정을 개설했다. 정치 활동 등을 유권자에게 알리기 위한 도구다. 21대에서는 더욱 확대됐을 것으로 보인다. '전담 보좌진'을 채용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유튜브 등 온라인 홍보 기획부터 편집까지 전문인력을 배치해 유권자들과 소통을 확대하겠다는 의지다.
정당 차원에서도 더불어민주당은 '씀', 국민의힘은 '오른소리', 정의당은 '정의당TV'를 통해 당원들과 만나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온라인정당을 표명하며 인터넷플랫폼을 구축했으며 온라인으로 정책 등을 제안, 토론하고 결정하는 체제를 만들어놨다. 이에 따라 당대표 등 당지도부 선출 등에 있어 당원들이 직접 온라인플랫폼에 접속해 투표하는 온라인투표가 진행되고 있다.
박영득 포항공대 교수는 '정치인의 YouTube 수익활동에 대한 쟁점과 제언'에서 "유튜브 시청자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자 정치인들은 경쟁적으로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개설하여 상시적으로 유권자들과 소통을 시도했다"면서 "전통적인 언론환경에서 유통되는 정치정보의 생산자는 언론인들이었고 정치인들은 언론인들이 생산하는 정치정보의 객체에 불과했으나, 유튜브가 활성화 된 지금은 정치인들이 자체적인 콘텐츠를 생산하는 정치정보 생산의 주체로 부상했고 언론인은 정치인이 생산한 정보를 실어 나르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고 분석했다.
온라인 정책토론회, 유권자 간담회를 시도한 김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코로나19 사태도 있었지만 전반적인 흐름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적절하게 섞으면서 유권자와 만나는 시대가 됐다"면서 "비대면 토론회, 간담회 등을 해보면 유권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더 직접적으로 들을 수 있다"면서 "연말에는 의정보고대회를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