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사법 위기’ 커지는데…반사이익 못 챙기는 여권

2024-11-25 13:00:23 게재

여권, 이 대표 25일 위증교사 1심 “선거법 이어 유죄” 기대감

윤 대통령·국민의힘 지지율 상승세 미미 … 4가지 이유 꼽혀

국정쇄신 부족·비판 여론 비등·여당 내분 심화·여론 양극화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위증교사 사건 1심 선고가 25일 오후 나온다. 여권은 ‘유죄’를 확신한다. 지난 15일 공직선거법 1심 유죄에 이어 이 대표의 사법 위기가 커질 것이란 기대다. 이 대표의 사법 위기가 커지는 흐름인 건 맞지만, 여권이 반사이익을 챙기는 정황은 찾아보기 어렵다.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 지지율은 제자리걸음이다. △부족한 국정쇄신 △누적된 비판여론 △여당 내분 되풀이 △양극화된 여론지형이 원인으로 꼽힌다.

기도하는 윤석열 대통령 윤석열 대통령이 22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56회 국가조찬기도회에서 기도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상균 기자

25일 오후 이 대표의 위증교사 사건 1심 판결이 나온다. 장동혁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24일 기자들과 만나 “법정구속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징역 2년 형을 예상한다”며 “죄질이 나쁜 데다, 위증 당사자(김병량 전 성남시장 비서 출신 김진성씨)가 ‘위증했다’고 드물게 인정했다”고 말했다. 이 대표 유죄를 확신하는 분위기다. 이 대표는 지난 15일 선거법 1심 재판에서 유죄를 선고 받았다. 제1야당 대표가 치명적인 사법 위기에 직면한 것이다.

발언하는 한동훈 대표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2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여권은 반사이익을 기대하는 눈치다. 중도층이 민주당에 등 돌리고, 여권쪽을 향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뚜렷한 반사이익은 눈에 띄지 않는다. 이 대표의 선거법 1심 유죄가 나온 이후 실시된 한국갤럽 조사(19~21일, 전화면접, 95% 신뢰수준 표본오차 ±3.1%p, 이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에서 윤 대통령 국정지지도는 1주일 전과 똑같은 20%를 기록했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1%p 오른 28%였다. 제자리걸음한 것이다.

왜일까. 여권에서는 크게 4가지 이유를 꼽는다. 우선 국민이 체감할 만한 국정쇄신이 속도감 있게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이 꼽힌다. 윤 대통령이 대국민담화를 통해 사과를 하고 김건희 여사가 활동 최소화에 들어갔지만, 국민 입장에서 봤을 때 “윤 대통령 부부가 정말 바뀌었구나”라고 판단할 만한 변화는 보이질 않기 때문에 여권에 마음의 문을 열지 않는다는 것이다. 윤 대통령은 세 번째 ‘김 여사 특검법’에도 거부권 행사를 예고했고, ‘김 여사 라인’ 인적쇄신을 주저하고 있다. 여권 핵심관계자는 24일 “이 대표가 중형을 받으면 여론은 ‘그럼 김 여사는?’이라며 되묻기 마련이다. 반사이익이 있을 수 있지만 역풍이 있는 것이다. 그래서 여권이 선제적으로 강도 높은 쇄신을 해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두 번째로는 윤 대통령 임기 전반기 동안 누적된 여론의 불만이 크다는 것이다. 이명박정권은 임기 첫 해 ‘미국산 소고기 수입 파동’으로 지지도가 21%(이하 한국갤럽 분기 평균 기준)까지 떨어지는 위기를 맞았지만, 친서민중도실용주의를 내세우면서 2년차에는 47%까지 반등하는데 성공했다. 여권 핵심관계자는 “이 전 대통령과 달리 윤 대통령은 임기 2년 반 동안 여론의 불만이 누적돼 왔다. 미운털이 오랫동안 너무 많이 박혔다. 이재명 싫다고 해서 윤석열이 좋아지지 않는다는 얘기다. (여권으로) 돌아올 지지층이 많지 않다”고 말했다.

세 번째로는 여당의 친한-친윤 내분이 점입가경이라는 점이 꼽힌다. 윤-한 갈등이 지난달 21일 면담을 기점으로 소강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관측이 나왔지만, 최근 당원 게시판 글 논란으로 친한-친윤이 재충돌하는 모습이다. 보수층·중도층의 지지 복원이 어려운 대목이다.

마지막으로는 유권자 지형이 양극화됐다는 점도 꼽힌다. 2007년 대선에서는 이명박 48.67%, 이회창 15.07%로 보수후보가 63.74%를 얻었지만, 2022년 대선에서 윤 대통령은 48.56%를 얻는 데 그쳤다. 보수후보 지지층의 폭이 크게 줄었기 때문에 윤 대통령의 ‘지지 복원력’이 이 전 대통령보다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진단이다.

엄경용 기자 rabbit@naeil.com

엄경용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