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기고

치매와 더불어 살아가는 법

2021-06-25 11:13:35 게재
고득영 보건복지부 인구정책실장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중인 우리나라에서 치매환자수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20년 기준 우리나라 치매환자는 83만명으로 추산되고, 10년 뒤에는 136만명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전체 노인의 10%가 넘는 치매환자 모두를 시설이나 병원에서 감당할 수는 없다. 이는 노인이나 가족의 삶의 질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치매 예방과 관리에 대해 의료적 접근을 우선적으로 떠올리는 분들이 많다. 치매는 고혈압·당뇨처럼 '조기에 잘 관리'하면 시설에 가지 않고도 삶에 큰 지장없이 살아갈 수 있는 질병이다.

일상생활에서의 계속적인 운동이나 회상(回想), 정서적 교류 등을 통해서도 병의 진행을 최대한 늦출 수 있다.

치매진행 최대한 지연 관리 주요

초고령사회를 눈앞에 둔 지금, 앞으로의 치매정책은 치매환자가 지역사회에서 다른 주민들과 함께 살며 치매를 최대한 지연시키고 관리하면서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큰 방향으로 삼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환자 가족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가 치매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치매에 친숙해져야 한다. '치매친화적 지역사회'를 만들어야 한다. 환자가 속한 가장 작은 사회인 가정은 물론, 주로 생활하는 마을과 지역에 이르기까지 지역사회 전체가 촘촘한 치매안전망이 되도록 해야 한다. 정부는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해나갈 계획이다.

먼저, 치매환자와 가장 가까운 접점인 환자가족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을 강화하고자 한다. 그간의 치매정책은 환자가족의 경제적·사회적 돌봄부담을 낮추는 것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치매환자 가족들은 치매환자와 함께 잘 살아가기 위해 이러한 부담 경감과 함께 치매환자와 관련하여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언제 어디서든 쉽게 얻을 수 있도록 요청하고 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치매안심센터에서 진행하는 맞춤형 사례관리 대상자를 가족까지 확대하고, 환자의 이상증상 등에 대해 가정에서도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치매안심센터의 비대면 교육과정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단계별·증상별로 구분한 돌봄기술 등을 제공할 수 있는 통합 정보제공 포털을 개발하는 등 치매환자 가족에게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지속 마련할 예정이다.

아울러, 2019년부터 지자체에서 자율적으로 운영중인 치매안심마을을 보다 활성화하고자 한다. 치매친화적 환경 조성을 목표로 현재 전국 505개 마을에서 운영중인 치매안심마을은 치매교육을 이수한 치매친화적 단체와 주민들이 마을 운영의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이들은 배회하는 치매노인을 보호하거나 봉사활동·재능기부 등을 통해 치매노인의 일상생활을 지원하고 다양한 인식개선 활동을 수행하기도 한다. 치매안심마을은 아직 시행 초기 단계이지만 점차 의미있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향후 지역 특성에 맞는 인증기준을 마련하고 구체적 운영모델 등을 담은 가이드북을 배포해 주민 주도의 활발한 운영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치유농장이나 숲체험 등 지역 내 다양한 자연자원을 활용한 치매 예방과 관리 프로그램과의 연계도 지속 강화해나갈 예정이다.

국민의 참여와 협조가 있어야 결실

우리 모두의 삶은 연결되어 있다. 이미 우리는 누군가의 가족이며 이웃이다. 치매환자와 가족이 살던 곳에서 삶의 존엄성을 지키면서 살아가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치매환자와 삶을 맞댄 국민들의 협조가 있어야 그 결실을 맺을 수 있다.

치매에 대한 우리의 따뜻한 관심과 참여는 잠시 기억의 길에서 길을 잃은 내 가족, 내 이웃과 공존하기 위한 최소한의 노력일 것이다.

[관련기사]
[내실 다지는 치매국가책임제] 가정생활 같은 치매서비스 늘린다
치매환자 실종예방 편의점 사업 진행
[치매안심지킴이 - 업소부터 안심 거리까지] "우리 동네 치매 어르신, 우리가 지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