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교체에 대학입시 판도 변화

2022-09-20 11:02:51 게재

추락하던 원자력분야 반전 발판

반도체는 상승 속 지역격차 조짐

문재인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추락하던 원자력 관련 학과들이 윤석열정부의 정책 변화로 수시모집에서 반전의 발판을 마련했다. 또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고 있는 반도체 관련 학과들은 상종가를 기록했다. 정부 산업정책의 이공계 분야 대학입시에 대한 영향력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

20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2023학년도 수시모집에서 신입생을 선발하는 서울대·한양대·세종대·경희대(국제)·조선대 등 5곳 원자력 학과의 경쟁률이 상승했다.

이들 학교는 수시모집에서 114명을 선발하는데 1076명이 몰려 9.4 대 1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8.7 대 1)보다 상승한 것이다. 특히 서울권 3개 대학은 지난해 평균 경쟁률 10.1대 1에서 2023학년도 11.7대 1로 상승했다.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등 전국 5개대 평균 경쟁률은 지난해 8.7대 1에서 올해 9.4대 1로 상승했다.

원자력 관련학과 전국 최고 경쟁률 한양대 원자력공학과 논술전형이 61.3대 1로 가장 높았다. 세종대 양자원자력 공학과 논술(32대 1), 경희대(국제) 원자력공학과 논술(20대 1) 등도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정부정책이 변화한 원자력 관련 학과들의 경쟁률이 상승했다"며 "지난 정부 때와 달리 원자력 학과에 대한 선호도 변화도 향후 발생할 것으로 보여진다"고 전망했다.

문재인정부의 탈원책 정책으로 국내 원자력 관련 학과들은 학사는 물론 석·박사 학생모집에 어려움을 겪었다.

한국원자력산업협회에 따르면 원자력공학 관련 학과를 개설한 대학은 17곳이다. 이들 대학의 학·석·박사 신입생은 2016년 802명에서 2020년 524명으로 34.7% 감소했다.

신입생 감소로 전체 원자력 전공 재학생은 13.9%(2543→2190명) 감소했다.

특히 취업률까지 떨어지면서 대학가에서는 원자력공학의 뿌리가 흔들린다는 이야기가 자연스럽게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윤석열 정부들어 중단된 경북 울진군 신한울 3·4호기 원전 건설을 재개하고 2030년까지 원전 10기를 수출하기 위해 조만간 '수출전략추진단'을 출범하는 등 정책 전환에 나서면서 분위기가 반전된 것이다.

정부가 관련 인재 육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힌 반도체 학과의 인기도 상승세다.

지난해 수시모집에서 8.6대 1이었던 반도체학과의 경쟁쟁률은 올해 9.6대 1을 기록했다.

전국 31개 대학 중 경쟁률을 공개한 30개 대학의 2023학년도 수시모집의 반도체 관련학과 모집인원은 1033명이다.

이는 전년의 6322명보다 3604명(57.0%) 증가한 것으로 11개 대학이 학과를 신설한데 따른 것이다.

신설로 모집정원이 크게 늘었음에도 경쟁률도 상승한 것이다. 기존 20개 대학의 전년도 경쟁률은 8.6대 1이었으나, 경쟁률이 공개되지 않은 한국과학기술원을 제외하고 반도체 관련 학과를 신설한10개 대학의 경쟁률은 11.2대 을 기록했다. 305명 모집에 3428명이 지원했다.

반도체 학과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경쟁률이 모두 상승했다. 다만, 서울 소재 대학의 경쟁률이 지방대의 3배를 넘었다.

서울 반도체 학과 선발 10개 대학 경쟁률은 18.1대 1로, 2022학년도 7개 대학의 17.6대 1보다 높다. 서울 제외 수도권 5개 대학의 경우, 6.8대 1에서 8.6대 1로 상승했다. 지방(한국과학기술원 제외) 15개 대학의 경우 3.8대 1에서 5.1대 1로 상승했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임 대표는 "정부 정책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학과는 이번 2023학년도 수시 지원에도 다소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며 "향후 반도체 관련 학과 육성 정책 방향에 따라 수험생들의 선호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임 대표는 "지방 대학들의 경쟁률이 줄어드는 상황이고, 반도체 관련 신설학과 11개가 개설돼 분산됐음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관련 학과 지원이 증가한 것은 의미 있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정부 정책 변화에 수도권 상위권 학생들이 많은 관심을 보였고, 이들이 브랜드 선호도가 높은 대학으로 움직인 다는 것을 고려하면 첨단학과끼리 수도권과 지방 간 양극화 현상이 벌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장세풍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