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풍 석포제련소 '통합환경허가' 불허하라"

2022-12-14 10:59:26 게재

낙동강네트워크 '폐쇄 촉구'

"경북 봉화군 오지 산골에 터를 잡은 영풍 석포제련소는 52년 동안 정치권과 관료들의 비호를 받으며 온갖 환경범죄를 저질렀고 낙동강 유역주민들의 건강을 위협해왔다. 이 지역에서 공장을 운영할 원료도 생산되지 않고, 중금속 오염은 임계치를 넘어선 지 오래다."

낙동강네트워크는 14일 오전 11시 정부 세종청사 환경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영풍 석포제련소는 낙동강 최상류라는 최악의 입지에 주민 건강마저 해치고 있다"며 "석포제련소에 대한 '통합환경허가'를 불허하는 것이 세계 경제 10위권 안에 있는 나라에서 해야 할 상식적인 결정"이라고 촉구했다.

낙동강 본류 바로 옆에 있는 영풍 석포제련소. 석포제련소가 대기로 배출한 아황산가스와 질소산화물이 수증기와 결합해서 생긴 산성비가 주변 산림을 대부분 고사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인근 주민들 소변에서는 맹독성 중금속인 카드뮴이 높은 농도로 검출됐다.


환경부는 31일까지 영풍 석포제련소에 대한 '통합환경허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이번 결정에는 영풍 석포제련소 공장폐쇄까지 고려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낙동강 상류 환경관리협의회'(협의회)는 2018년 3월부터 2022년까지 5년에 걸쳐 석포제련소 주변 환경 오염에 대한 연구와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영풍 석포제련소가 대기로 배출한 아황산가스와 질소산화물이 수증기와 결합해서 생긴 산성비가 주변 산림을 대부분 고사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제련소 바로 옆에는 주민 주거지와 관공서, 어린이들이 다니는 학교까지 있다. 제련소에서 배출된 대기오염물질은 지역 주민들에게 호흡기 질환을 가져오고 주민들 소변에서는 맹독성 중금속인 카드뮴이 높은 농도로 검출됐다.

2001년 영풍 석포제련소에서 근무하던 고 최재환씨는 경북대병원에서 '카드뮴 과다 중독' 판정을 받고 사망했다. 카드뮴 과다 중독은 곧 '이따이 이따이'병이다.

영풍 석포제련소에서는 매일 약 22kg의 카드뮴이 낙동강 본류 수계로 유출된다. 유출된 유해 중금속은 낙동강 상류 수질과 퇴적물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2015년 11월 내일신문이 최초로 현장취재로 확인 보도한 '다슬기' 문제도 여전했다.

석포제련소 상류에는 다슬기가 많은데, 협의회 조사에서 제련소 하류에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낙동강 본류에서 다슬기가 다시 나타나는 구간은 안동시 병산서원 인근이다. 낙동강 상류 물고기 몸에는 카드뮴 등 중금속이 높은 농도로 축적돼있었다.

제련소 주변 환경오염 원인에 대한 영풍 석포제련소의 기여율은 △산림 : 반경 0.6km 이내 61.6%, 1.1km 이내 88.6%, 2.2km 이내 77.3% △하천 퇴적물 카드뮴 : 제련소 하류 40km 이내 95.2%, 40km에서 안동호까지 89.8%, 안동호 64%로 추정됐다.

낙동강네트워크는 "영풍 석포제련소는 1970년 공장 가동 이후 1300만 국민이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낙동강 최상류에서 온갖 위·불법 행위를 저질렀고 2013년 이후에만 적발건수가 70여건에 이른다"며 "2021년엔 '환경범죄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281억원의 과징금을 받았지만 여기에 불복하는 소송을 진행중"이라고 비판했다.

김수동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는 14일 "환경부는 최악의 환경범죄 기업인 영풍 석포제련소에 대한 허가를 불허하고 파괴된 낙동강을 복원해야 한다"며 "이것이 낙동강을 식수원으로 살아가는 영남지역 1300만 국민을 위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글 사진 남준기 기자 namu@naeil.com
남준기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