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까지 최근 5년, 노조원 82만명 늘어
비정규직·여성·고령층 늘어, 조합원 10명 중 4명 'MZ세대' … "문재인정부 친노동정책 등 영향"
최근 5년간(2017~2021년) 문재인정부의 친노동 정책 등에 힘입어 비정규직, 서비스업, 여성·고령층의 노동조합 조직률이 상대적으로 크게 늘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사장이 13일 작성한 '한국의 노동조합 조직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조 조합원 수는 문재인정부 출범 전년도인 2016년 211만명에서 5년 뒤인 2021년 293만명으로 82만명 늘었다.
이 같은 폭발적 증가는 1987년 '노동자 대투쟁'으로 조합원 수가 가파르게 늘어난 이후 처음이다.
현재 고용노동부와 통계청이 각각 노조 조합원 수와 조직률과 가입률 통계를 발표한다.
하지만 고용부는 조사대상에서 법외노조를 제외하고, 통계청은 실업자와 비임금근로자를 제외한다. 이번 보고서는 이를 조정한 수치로 다시 집계한 결과다.
김 이사장은 "조합원 수가 크게 증가한 것은 '촛불혁명' 이후 변화된 사회 분위기, 문재인정부의 친노동 정책, 양대 노총(한국노총·민주노총)의 조직 확대 경쟁 등 여러 요인이 맞물린 결과"라고 설명했다.
김 이사장은 고용부 자료를 토대로 지난 60년간 노조 조합원 추이를 크게 6단계로 구분했다.
제1기(1963∼1979년)에는 산업 발달로 22만명에서 109만명으로 꾸준히 늘었다. 제2기(1980∼1986년)에는 정부에 의해 산별 노조 지역지부가 강제 해산되고 기업별 노조 체제가 강요되면서 산업 발달에도 불구하고 조합원 수는 다소 줄었다.
제3기(1987∼1989년)에는 조합원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1987년 노동자 대투쟁으로 노조운동이 활성화됐기 때문이다. 그 결과 1986년 104만명이던 조합원 수는 1987년 127만명, 1988년 171만명, 1989년 193만명으로 불과 3년 만에 2배 가까이 늘었다.
제4기(1990∼1998년)에는 외환위기 등 사회·경제적 상황과 맞물려 조합원 수가 감소했고 제5기(1999∼2016년)에는 완만하게 증가했다.
고용부 기준으로 2016년 197만명이던 조합원 수는 문재인정부와 겹치는 제6기(2017∼2021년)에 가파르게 늘어 2021년 293만명을 기록했다.
제6기에는 모든 연령층에서 노조 조합원 수가 늘고 조직률이 높아졌다. 특히 여성과 50대 이상 고령층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부가조사'에 따르면 전체 조합원 중 여성 비중은 2016년 30.6%에서 2021년 32.6%로, 50대 이상 비중은 같은 기간 26.3%에서 31.8%로 높아졌다.
청년(15~19세) 조합원은 31만명에서 35만명이다. 30대(68만명→70만명)까지 포함하면 MZ세대는 104만명으로 전체 조합원 10명 중 4명이 MZ세대다.
고용형태별로 보면 비정규직 노조 가입률은 2016년 1.8%에서 2021년 3%로 높아졌다. 반면 정규직 노동자의 노조 가입률은 같은 기간 20%에서 19.9%로 거의 변함이 없었다.
산업별로 제조업 노조 조직률이 같은 기간 15.8%에서 14.8%로 감소했지만, 유통서비스업은 12.8%에서 14.8%, 개인서비스업은 2.5%에서 4.2%로 증가했다.
2021년 조합원 비중은 사회서비스업(30.1%)이 가장 높았다.
이어 제조업(21.7%)과 유통서비스업(21.6%), 생산자서비스업(17.0%), 기타재화생산(6.0%), 개인서비스업(3.7%) 순이다. 지난 5년간 제조업 비중은 감소하고(26.4%→21.7%) 다른 산업은 증가했다.
윤석열정부가 출범한 지난해 조합원 수는 고용부가 현재 집계 중으로 올해 연말 공개된다.
김 이사장은 "문재인정부 시기 증가세가 윤석열정부에서도 이어질 것인지 주목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