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기술로 폐기물 불법투기 예방
정부혁신 우수사례 국무총리상
한국환경공단은 "기존 불법폐기물 감시는 지방자치단체 단속(환경감시단 등)과 신고보상금 등 인적 자원에 의존해 한계가 있었다"며 "전국적으로 무단 투기되는 불법폐기물 예방을 위해 관리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했다"고 소개했다.
2019년 국내는 물론 해외에도 알려져 논란이 된 이른바 '의성 쓰레기산' 사건 이후에도 방치된 폐기물은 약 191만4000톤(2019~2022년)에 달한다. 의성 쓰레기산 문제 이후 처리비용만 1227억원(2019~2021년 행정대집행)을 사용했다.
한국환경공단은 "폐농가 등 외진 곳과 늦은 시간에 발생하는 폐기물 투기 특성을 반영해 빅데이터 위치정보시스템(GPS) 드론을 활용한 인공지능(AI) 분석으로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극복했다"며 "대규모의 불법 투기·방치폐기물이 적치되기 전에 선제적으로 확인해 폐기물 처리 비용을 최소화하고 적발률 향상 등 행정적 비용도 절감했다"고 설명했다.
한국환경공단은 폐기물 인계·인수 시 추가 수집된 현장정보 데이터를 AI(머신러닝+딥러닝)로 분석해 폐기물 이상거래 탐지모델 5종을 개발, 활용 중이라고 소개했다. AI를 활용해 가축분뇨 예상 배출량과 실제 배출량을 비교 분석(사업장 폐기물 빅데이터 분석)하는 등 폐기물 이상 거래 의심 업체를 걸러낸다. 중량센서 등 사물인터넷(IoT) 기반 배출 및 처리량 정합성을 검증하거나 GPS 활용 부적정 지역 체류 차량을 모니터링한다.
불법의심 현장을 보다 신속하게 확인하기 위해 드론도 활용한다. 민·관 협업 드론순찰대(스카이 패트롤)를 가동해 순찰시간을 단축하고 육안점검이나 접근성이 어려운 사각지대 문제를 개선했다. 실제로 전라북도 축산농가(151개소)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의심업체를 선정해 적발한 결과, 적발률이 83%나 됐다.
안병옥 한국환경공단 이사장은 "높은 수준의 환경서비스 제공을 위한 디지털 기술 활용을 적극 추진 중"이라며 "국민이 필요한 서비스를 더욱 쉽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