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가운데 한국만 GDP 대비 총부채비율 커졌다
가계·기업·정부부채 비율 273.1% … 1년 만에 4.9%p↑
OECD 31개국은 평균 14.0%↓ … "부채 위험 수위"
가계소득 대비 부채원리금상환액비율도 사상 최고치
우리나라 총부채 비율이 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가계의 소득 대비 부채원리금상환액의 비율 역시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3년6개월 동안 상승세를 이어갔다. 가계와 기업, 정부 모두 부채관리에 비상이 켜진 셈이다.
21일 국제결제은행(BIS) 자료를 보면 한국의 올해 2분기 말 원화 기준 비금융부문 신용은 5956조9572억원으로 집계됐다. 비금융부문 신용(총부채)은 정부와 기업, 가계의 부채규모를 합한 것이다.
◆다른 나라는 총부채율 감소하는데 = 한국의 GDP 대비 총부채 비율은 올해 2분기 말 273.1%로 전년동기대비 4.9%p 높아졌다.
전년대비 총부채 비율이 상승한 것은 BIS 자료에 포함된 OECD 소속 31개국 가운데 한국뿐이었다. 31개국의 GDP 대비 총부채 비율은 작년 2분기 말 평균 243.5%에서 올해 2분기 말 229.4%로 14.0%p 줄었다.
특히 이탈리아(257.7→243.1%)를 비롯해 덴마크(251.9→237.2%), 튀르키예(116.7→100.4%), 오스트리아(228.2→206.6%), 영국(261.8→236.7%), 스페인(268.5→241.1%), 네덜란드(283.9→255.1%) 등이 평균보다 큰 폭으로 하락했다.
포르투갈(284.3→251.1%)과 그리스(303.0→268.6%), 아일랜드(233.3→198.8%) 등 3개국은 30%p 넘게 GDP 대비 총부채 비율이 줄었다.
다만 올해 2분기 말 GDP 대비 총부채 비율 숫자 자체는 한국이 31개국 중 9위였다. 일본(414.0%), 룩셈부르크(403.2%), 프랑스(322.7%), 캐나다(307.9%), 스위스(299.7%), 벨기에(292.2%), 스웨덴(274.5%) 등이 한국보다 더 높았다. 이 중 일본은 정부부채 비율(230.3%)이, 룩셈부르크는 기업부채 비율(308.2%)이 특히 높게 나타났다.
기재부 관계자는 "가계와 기업, 정부 부채 모두 증가속도가 빨라 위험수위라고 봐야 한다"면서 "경제 3주체의 부채관리를 보다 적극적으로 할 것"이라고 말했다.
◆빚 갚고 나면 쓸 돈도 없어 = 가계부채 수준 역시 위험수위다. 실제 우리나라 가계의 소득 대비 부채원리금상환액의 비율은 매년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국제결제은행(BIS)의 주요국 가계부문 평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보면, 한국은 올해 2분기 말 기준 14.2%로 집계됐다. 직전 분기보다 0.1%p, 1년 전과 비교하면 1%p 높아져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우리나라 가계의 DSR은 2020년 3분기(12.3%)에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뒤 올해 2분기까지 계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가계 DSR은 가계가 1년 동안 지출해야 할 빚 원금과 이자 비용을 연간 소득으로 나눠 계산한 백분율이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버는 소득에 비해 빚 상환 부담이 크다는 것을 말한다.
올해 2분기 기준 우리나라 가계의 DSR은 조사 대상 17개국 평균치(9.9%)를 4.3%p 웃돌았다. 호주(17.9%)·노르웨이(17.7%)·캐나다(14.4%)에 이어 네번째다. 미국(7.7%)·일본(7.4%)·독일(5.2%)·프랑스(6.3%) 등 주요국과 비교하면 두 배 안팎으로 높다.
특히 2020년 1분기 이후 14개 분기 연속으로 이 비율이 높아진 국가는 한국뿐이다. 같은 기간 덴마크(13.8%→12.7%), 네덜란드(14.6%→12.4%), 영국(9.2%→8.5%), 스페인(5.9%→5.7%) 등은 비율이 낮아져 '부채 축소'(디레버리징)가 이뤄진 것으로 분석됐다.
[관련기사]
▶ 국가총부채 6천조원 넘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