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립·은둔이 지원기관들, 고립은둔 청년 지원 방안 논의

2024-05-28 18:52:42 게재

한국 은둔고립자지원기관 협의회 주최

최근 여성가족부와 보건복지부가 고립은둔 청소년과 청년을 지원하는 시범사업을 준비·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둔고립자지원기관협의회 제2회 포럼이 열렸다. 한국 은둔고립자지원기관 협의회(이사장, 윤철경 지엘청소년연구재단 상임이사)는 지난 수년간 은둔고립자와 가족을 발굴, 지원해 온 국내 대표적인 기관들의 협의체다.

은고협은 28일 오후 2시 화상회의에서 정부의 은둔·고립자 지원 시범사업 관련 현장에서 필요한 ‘은둔고립청년 지원 시 필요한 핵심 요소’를 논의했다.

첫번째 발표자로 나선 김혜원 파이나다운청년들 이사장(호서대 교수)은 ‘은둔청년 상담지원에 무엇이 중요하며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주제에서 “은둔은 보통 사춘기에 시작되어 사춘기의 반항과 혼돈되기 쉬운데 모든 사춘기 청소년이 관계를 끊는 형태를 보이지 않기 때문에 상당히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이사장은 “가장 큰 오해는 그대로 놔두면 저절로 좋아질 것이라는 생각인데 만성화 되기 싶고 기간이 길어질수록 불안, 두려움 등이 깊어지기 때문에 적절한 대처가 필요하다”며 상담초기와 중기, 종결 및 사후관리 절차,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김진선 노원구 상담복지센터장은 “고립은둔청소년은 초기 관계 형성에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상담사나 사례관리자들이 이 시기를 대단히 어려워한다”며 “상담과 학습지원보다 실제로는 청소년들이 흥미를 갖고 할 수 있는 활동 지원이 먼저가 아닐까”라고 말했다.

김 센터장은 “보호자들이 자녀를 전문가에 의뢰해 놓고 물러나려고 하는데 보호자들을 변화시키기 위한 적극적 개입, 은둔성향 청소년 조기발견/조기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두 번째 주제는 ‘은둔청년 활동지원에서 무엇이 중요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로 백희정 광주은둔형외톨이지원센터 사무국장이 발표했다.

백 사무국장은 은둔시기별 특성과 활동지원방향을 제시했다. 침잠기에는 대면활동 지원이 불가하기 때문에 집안에서 하는 비대면활동이나 가족지원이 필요하다. 모색기에는 제약간의 대면활동을 시도해볼 수 있으며 생활습관형성이나 당사자간 소그룹 등을 지원하고 활동기에 들어가면 당사자들간 다양한 대면활동을 시도해 볼 수 있다.

광주센터는 4주단위 활동을 설계하고 은둔청년의 수시 진입을 원할히 하기 위해 여러번 진행하고 있다.

이정현 사회적협동조합 일하는학교 사무국장은 참여자를 수시 모집하는 광주센터와 달리 본 기관은 입학부터 종결까지 1년여 장기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단기와 장기 프로그램의 장단점을 비교했다. 참여자의 인식과 행동변화가 일어나기까지 장기간이 필요한데 이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 지를 물었다.

박두헌 지식순환협동조합 사무국장은 “공공센터의 경우 장기적인 지원에 어려움이 있다”며 “지자체가 장기적인 지원이 가능한 방향으로 사업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대인관계가 어려운 만큼 신뢰로운 공동체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규철 기자 gckim1026@naeil.com
김규철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