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원식 ‘현장 정치’…‘새로운 의장상’ 만드나

2024-07-01 13:00:28 게재

현장민원 청취하고 화재현장 달려가

“갈등 해법도, 국회 할 일도 현장에”

지난달 5일 취임 이후 우원식 국회의장의 발은 주로 ‘현장’에 있었다. 그는 국회의장으로 첫 발언을 통해 “국회의원 개개인은 의정활동에서 현장성을 높이고 기관으로서 국회는 사회적 대화의 플랫폼 역할을 한다면 22대 국회는 좀 더 구체적인 희망을 만들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현충원 참배하는 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단 우원식 국회의장이 지난달 28일 오전 제22대 전반기 국회의장단, 상임위원장단, 정당 원내대표들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을 참배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그러면서 곧바로 현장으로 향했다. 9일 오후 6시부터 3시간동안 지역구인 노원구 경춘선숲길 등에서 지역주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현장민원 청취에 나섰다. 2022년부터 매주 일요일마다 빼놓지 않은 우 의장의 루틴이다. 1300여건의 민원을 받아 1000여건을 해결했다고 한다.

16일에는 국회 보건복지위와 서울의대 교수비대위가 만나는 간담회에 참석해 의정갈등 현장의 목소리를 들었고 이태원 참사 분향소가 옮겨져 새로 만들어진 기억공간 ‘별들의 집’ 개소식을 찾아 “가혹하고 오랜 시간을 견딘 유가족의 고통과 상처에 대한 위로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유족의 요청에 경기도 화성 화재사고 현장을 찾기도 했다. 유족들은 회사가 국민들에게 사과하면서 유족들에겐 사과 없이 대형 로펌을 동원해 대응했다며 ‘분노’를 감추지 못했다. 우 의장은 즉시 아리셀 본사로 들어가 유족의 뜻을 전달했고 밤늦게 유족들은 아리셀 임원으로부터 사과를 받을 수 있었다. 우 의장은 “화성 시민추모분향소와 화재 현장에 다녀왔다. 정부와 국회가 있어야 할 곳이 바로 거기였다. 희생자 유족과 부상자 지원은 당사자의 기막힌 심정으로 살펴야 한다”며 “사고 원인과 의혹을 철저히 조사하고 이주노동자의 산업안전을 포함해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사업장의 안전교육을 지원하고 관리할 책임을 반드시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28일 우 의장은 재단법인 뚜벅이 개소식에 참석했다. 뚜벅이는 한국와이퍼 청산 이후 노동자들의 재고용과 지역 취약노동자 지원 등을 위해 조성된 사회적 고용기금이다. 우 의장은 민주당 을지로위원회 책임의원으로 안산 한국와이퍼 해고투쟁을 지원해 왔다.

현안에 대해서도 말과 행동을 아끼지 않았다. 14일엔 독립운동가 이회영 선생의 손자인 이종찬 광복회장을 만나 “홍범도 장군 등 육사 내 5명의 독립전쟁영웅 흉상은 단 1㎝도 옮겨져서는 안 된다는 것을 정부에게 분명히 말씀드린다”고 목소리를 냈다. 21일엔 베어벨 바스 독일 하원의장에게 편지를 보내 “‘평화의 소녀상’은 지역 의회와 시민사회로부터 폭넓은 지지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철거 논의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어 대한민국 국회의장으로서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며 “전 세계적으로 여성의 인권과 평화의 소중함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해 온 ‘평화의 소녀상’이 존치될 수 있도록 독일 연방의회 의장께서 많은 관심과 지지를 가져달라”고 했다.

우 의장은 당선 직후 발언에서 국회법에 따른 국회 운영과 함께 “의정활동의 현장성을 높이자”고 외쳤다. 그는 “국민의 목소리를 잘 들으려면 현장에 밀착해야 한다”며 “동네 골목과 시장, 우리 사회 을들의 터전에서부터 세계와 경쟁하는 첨단기술 현장까지 민심은 국민 삶의 현장에 있다”고 했다. “현장은 그때그때 달라지는 이벤트가 아니다”며 “갈등의 해법도, 국회가 할 일도 현장에 답이 있다”고도 했다. “어떤 형태든 300명 국회의원 한분 한분이 모두 정기적이고 상시적인 민심 청취 수단을 가진다면 우리 국회도 크게 달라질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국회를 사회적 대화의 플랫폼으로 만들자”는 포부를 숨기지 않았다. “노동, 복지, 주거, 교육, 의료 같은 일상 의제부터 기후 위기, 저출생, 지역소멸 같은 국가적 난제에 이르기까지 우리 사회가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 대부분에는 다양한 이해관계와 가치가 얽혀있다”며 “사회적 논의와 합의가 필수적이고 절실하다. 그 역할을 국회가 할 때”라고 했다.

박준규 기자 jkpark@naeil.com

박준규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