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공기업 발전기 이용률 급락…경영위기
이용률 20% 미만 26기, 10% 미만 12기
노후 석탄발전소, LNG발전 전환 지연
수도권 대규모 분산형 발전소 건립 시급
발전공기업 5개사의 발전 이용률(가동률)이 매년 급락하고 있다. 연평균 이용률이 20%도 채 못 미치는 발전기도 수두룩하다.
노후 석탄발전소의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로의 전환은 더디게 진행된다. 발전기는 노후화되는데 신재생에너지 공급량은 늘어나니 급전순위도 갈수록 뒤로 밀린다. 경영악화가 예견되는 상황이다.
18일 발전공기업들에 따르면 5개사 모두 2022년 이후 매년 발전기 평균 이용률이 감소하고 있다. 남동발전은 2022년 55.2%에서 2023년 50.1%, 2024년(1~10월) 48.8%로 하락했다. 남부발전도 같은 기간 51.6%, 39.7%, 37.3%로 크게 줄었다. 동서발전(46.7%, 42.8%, 41.6%), 서부발전(42.8%, 40.4%, 36.1%), 중부발전(50.1%, 50.2%, 49.6%)도 예외가 아니다.
또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허종식 의원(더불어민주당·인천동구미추홀구갑)에 따르면 이용률 20% 미만 발전기는 26기에 이른다. 발전사로는 남동발전 6기, 남부발전 3기, 동서발전 2기, 서부발전 10기, 중부발전 5기 등이다. 이중 남동발전 영흥 1·2호기와 동서발전 당진2·3호기는 연중 환경설비 성능개선공사가 계속돼 올해 이용률이 0%다.
△남부발전 영월1호기(1.5%) 삼척1호기(9.2%), 한림1호기(7.9%) △서부발전 평택 1~4호기(4.3~6.8%) △중부발전 보령복합 1~3호기(6.7%9.4%), 제주내연 1~2호기(5.3~7.1%) 등 12기는 이용률이 한자리수다. 예를 들어 남부발전 영월1호기(LNG복합화력)의 올해 이용률이 1.5%라는 얘기는 365일 중 5일만 전력을 생산한다는 얘기다. 그렇다고 관리 인력이 줄어드는 것도 아니다.
정부의 에너지믹스 정책이 오락가락한데다 동해안 송전선로 건설지연에 따라 강원권에 위치한 화력 발전사들은 발전공기업·민간발전사 모두 계통제약에 따른 대규모 손실을 보고 있다.
발전공기업 한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대규모 발전소는 대부분 1990년부터 2000년대 초반 건설됐다”며 “설비 노후화에 따른 효율저하 및 민간발전사의 신규발전기 진입으로 급전순위에서 점차 밀리고 있다. 발전공기업의 수익악화는 예견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준공 30년이 지난 발전사의 노후 석탄발전소를 천연가스발전소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지역수용성, 송전계통제약 등의 문제로 신규 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남부발전의 하동 2·3호기는 2027년 12월, 동서발전 당진 2호기는 2029년 12월까지 대체건설을 완료해야 하지만 아직 부지선정도 못한 상태다. 남동발전의 삼천포 6호기는 대체건설 부지를 천안 제5산단으로 정하고 발전사업허가를 신청했다.
그러나 한전은 송전계통 보강문제로 2031년 12월 이후에나 접속 가능하다고 의견을 준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발전기는 2029년 12월까지 대체건설을 완료해야 한다. 노후 석탄발전소의 대체건설이 지연될 경우 정부는 안정적인 전력수급 문제에 직면하고, 발전사는 수익악화 등의 어려움에 직면할 것으로 우려된다.
앞으로 수도권 전력수요는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반도체공장 등으로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따라서 수도권의 전력수요를 충족하고, 송전망 확충의 난제를 해결하려면 발전공기업이 보유한 노후 석탄발전소 물량을 수도권으로 이전할 필요가 있다.
이런 측면에서 최근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에 3기가와트(GW) 규모의 발전사 석탄대체 물량을 천연가스발전으로 변경해 이전한 것은 모범적인 사례로 꼽힌다.
또 가능하다면 전기와 열이 동시에 공급 가능한 열병합발전소로의 전환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 이 경우 △송전계통 완화 △주민수용성 확보 △온실가스 배출 저감 등 3가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