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올해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운영 대학 모집
‘졸업생 특화 프로그램’ 신설
고용노동부(장관 김문수)는 7일부터 31일까지 구직 청년들이 취업역량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자 2025년 졸업생 특화프로그램 사업,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및 고교·대학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신규 운영대학(전문대·산업대 포함)을 모집한다.
올해는 ‘쉬었음’ 청년을 예방하기 위해 ‘졸업생 특화 프로그램 사업’을 신설하고 전국 모든 대학을 대상으로 120개교를 선정한다. 최근 채용시장이 위축돼 신규 졸업생들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이므로 졸업 초기에 지원을 집중하려는 것이다.
고용부는 “실제로 유럽연합(EU)은 구직 단념 청년 문제에 대응해 ‘졸업 후 4개월 내’를 골든타임으로 보고 이 기간에 취업·훈련 기회를 보장하는 ‘청년보장제도’(Youth Guarantee)를 시행해 청년 실업률을 낮추는데 큰 성과를 얻은 바 있다”고 설명했다.
졸업생 특화 프로그램은 지난해 8월부터 시범 운영돼 1:1 상담, 서류·면접 탈락 컨설팅, 취업한 선배의 멘토링 등에 청년들의 호응이 높았다.
올해 참여대학은 미취업 졸업생 전원에게 취업지원 서비스를 유선·문자로 안내하고 참여를 독려할 계획이다.
아울러 대학 내에 설치돼 청년들에게 통합 취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학일자리+센터’를 운영할 1개 대학을 신규 모집하고 대상별 취업지원 프로그램 운영대학을 확대해 공모한다. 선정된 대학에는 최대 4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대학생에게 학년별 상담·취업지원을 실시하는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운영대학은 지난해 50개에서 올해 60개로 확대한다. 직업계고·비진학 일반고 학생에게 진로상담·설계를 지원하는 ‘고교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운영대학은 지난해 20개에서 올해 30개로 확대한다.
이번 공모에는 취업지원 역량을 갖춘 전국 대학은 관할 고용센터 취업지원부서에서 신청할 수 있다. 다만 ‘고교·대학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는 대학일자리+센터가 설치된 대학만 신청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고용부 누리집 ‘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참여를 희망하는 대학의 이해를 돕고자 10일 오후 2시부터 대전 서구 배재대 아트컨벤션홀에서 설멸회를 연다.
홍경의 고용부 청년고용정책관은 “올해 졸업생들이 어려운 취업 여건 속에서 고군분투하고 있는데 이들이 ‘쉬었음’으로 빠지지 않도록 조기 개입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120개 대학일자리+센터뿐만 아니라 미설치 대학까지 졸업생 특화 프로그램을 확대해 청년들이 즉시 필요한 도움을 받도록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재학 단계부터 졸업 후 취업할 때까지 빈틈없는 맞춤형 지원체계를 강화해 청년들이 더욱 수월하게 원하는 일자리에 안착하도록 돕겠다”라고 덧붙였다.
한남진 기자 njhan@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