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 미국에 제철소 건설 검토
현대차 미생산기지 수요 커
수백만톤 규모 전기로 가능
미 철강사업 돌파구 관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보편관세 부과 등 부호무역 강화 정책을 예고한 가운데 현대제철이 미국에 대형 제철소 신규로 짓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은 미국 현지에 자동차 강판 제품 등을 생산하는 제철소 건설을 검토 중이다.
앞서 서강현 현대제철 사장은 작년 3월 주총에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하기 위해 현지 생산 거점도 검토하고 있다”며 “어떤 지역에 투자해 무역장벽을 극복할 수 있을지 세밀한 검토를 해나가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트럼프 당선인 취임 후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에 관한 자동차 업계의 우려가 큰 상황이어서 현대차그룹이 무역 장벽 돌파구 마련 차원에서 과감한 대미 투자를 단행할 가능성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업계에서는 현대제철이 미국에 제철소를 건설한다면 연산 수백만톤 규모로 투자금도 10조원대에 달할 것으로 관측한다.
현재 현대제철의 연간 조강 생산량은 2000만톤 가량으로 이 가운데 자동차용 강판 생산량이 약 500만톤에 이른다. 다시 자동차 강판 생산량 중 400만톤은 계열사인 현대차와 기아에 공급된다.
현대제철이 대형 투자 검토에 나선 것은 트럼프 신정부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전망 속에서 그룹사인 현대차·기아의 미국 내 자동차 생산량이 지속 확대될 예정이어서 그룹 내 현지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차그룹은 앨라배마 공장, 조지아 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를 가동 중이다. 메타플랜트 생산량이 확대되면 향후 연간 미국 내 생산량이 120만대 체제를 갖추게 된다.
현재 현대차그룹은 현대제철 한국 공장에서 생산한 강판을 가져다 미국 공장에서 자동차를 생산한다.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은 쿼터가 적용돼 공급 물량을 늘리는 데 한계가 있다.
트럼프 1기 행정부가 2018년 무역확장법 232조를 철강에 적용해 국가 안보를 이유로 대한국 철강 수입량을 2015~2017년 연평균 수출량(약 383만t)의 70%로 축소한 쿼터를 적용했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은 대미 철강 수출에서 ‘263만t 무관세’를 적용받고 있다.
따라서 현대제철이 미국에 대형 제철소를 신규로 건설하게 된다면 현대차그룹 차원의 자동차 사업 안정화에 더해 제약된 한국 제철 산업의 대미 사업에도 새로운 활로를 여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나아가 실무적 차원의 이점 외에도 현대차그룹 차원의 대규모 미국 투자는 트럼프 신정부 출범을 앞두고 투자 유치를 중요하게 여기는 ‘선물’로 여겨져 최대 시장인 미국 사업 환경 안정을 도모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규모 무역적자가 자국 경제를 망치고, 일자리를 파괴하는 요인으로 보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관세 장벽을 높이겠다는 구상을 밝힌 바 있다.
한편 현대제철은 8일 공시를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확정된 것은 없다"며 "구체적 사항이 결정되는 시점 또는 1개월 이내에 재공시하겠다"고 밝혔다.
이재호 기자·연합뉴스 차대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