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꺾였지만…문제는 ‘오존’
서울 오존주의보 발령 2024년 ‘최다’
2023년 45회 발령, 지난해엔 115회
서울의 공기를 좌우할 대기 중 유해물질로 ‘오존’이 급부상하고 있다.
16일 내일신문 취재 결과 서울의 미세먼지는 관측을 시작한 2008년 이후 지난해 최저치를 기록했다. 초미세먼지(PM2.5) 연평균 농도는 2008년 26㎍/㎥ 대비 약 32% 감소한 17.6㎍/㎥ 였고 초미세먼지 농도가 ‘좋음’인 날은 176일로 2008년 86일 대비 2배 이상 늘었다.
하지만 오존농도는 정반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시는 오존농도가 시간당 0.12ppm 이상이면 오존주의보를 발령하는데 2023년 45회였던 횟수가 지난해 115회로 늘어났다. 오존주의보 발령횟수 증가는 뚜렷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9년 29회, 2020년 30회, 2021년 32회, 2022년 42회로 해마다 꾸준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먼지에 가려진 오존 = 그간 오존은 미세먼지에 가려져 그 피해 영향이 크게 부각되지 않았다. 미세먼지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상대적으로 오존 대응이 뒷전으로 밀린 측면도 있다. 전문가들은 오존에 대한 잘못된 상식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진단한다.
과학계에 따르면 오존은 해로운 자외선을 차단하는 유익한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이는 성층권(고도 약 10~50km)에 해당하는 이야기다. 지표 근처에서 오존은 질소산화물(NOx),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자외선과 화학반응을 통해 자극성과 산화력이 강한 오염물질로 변한다. 인체에 독성이 있어 장시간 흡입하면 호흡기관을 해칠 수 있다.
우리나라가 오존 대응을 소홀히 한 사이 해외 국가들은 관련 대책에 힘을 쏟고 있다. 실제 우리나라의 오존농도는 199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9년 기준 인구 가중치를 고려하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연구원(KEI)이 지난해 12월 공개한 ‘국내 고농도 오존 관리를 위한 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1990년 이후 전 지구적으로 주요 선진국의 오존 농도는 감소한 반면 중국과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오존 농도 증가가 두드러졌다. 주요 선진국에서는 배출량이 점진적으로 감소했다. 오존 생성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물질로 꼽히는 질소산화물과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배출 관리가 효과를 봤다.
◆서울시, 상반기 중 종합대책 수립 = 서울시도 관련 대책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미세먼지 저감에 성과를 거둔 만큼 올해 주요 대기질 개선 목표로 오존농도 저감을 꼽고 있다. 시에 따르면 우리나라 오존 발생 주 원인인 휘발성유기화합물 주요 배출원은 세제 잉크 도료 등 유기용제가 포함된 생활소비재다. 도장시설 세탁시설 인쇄업 등이 뒤를 잇는다.
전문가들은 미세먼지 대책이 경유차 조기 폐차, 경유 버스 퇴출 등 공공 정책에` 집중됐다면 오존은 세탁기, 인쇄소 등 일상 속 배출원 관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민간 협력이 중요하다는 지적도 제기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시민들 협력이 중요하지만 관급공사에서 친환경 도료 사용을 늘리고 공공간행물에 친환경 잉크를 사용하는 등 공공이 앞장서 오존농도 감축에 나설 것”이라며 “올해 상반기 중에 오존노출 저감을 위한 특별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제형 기자 brother@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