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음악 전용 공연장 논란

2025-03-20 13:00:09 게재

시비 3300억원 투입에

“치적 쌓기용 전시행정”

대전시가 음악 전용 공연장 건설에 시비 3300억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이 알려지면서 예산규모가 너무 과도하다는 비판이 쏟아지는 등 논란이 일고 있다.

20일 대전시 등에 따르면 시는 시비 3300억원을 투입해 원도심인 중촌근린공원에 2500여석 규모의 음악 전용 공연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대전에 위치한 예술의전당은 다목적인 만큼 클래식 음악 등을 전문적으로 공연할 장소가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대전시 관계자는 “2010년부터 지역에서 필요성이 제기됐고 민선 8기 들어 본격적으로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현재 해당 사업은 한국지방행정연구원에서 타당성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타당성조사를 통과하면 행정안전부 중앙투자심사를 받게 된다.

대전시의 음악 전용 공연장 추진상황이 알려지자 지역 시민단체와 야당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대전참여연대는 19일 성명을 내고 “윤석열정부의 부자감세로 세수가 감소했고 지방교부세 감액으로 지방재정 현실은 더욱 악화하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3300억원이라는 막대한 금액을 단일사업에 집중 투자하는 것은 재정건전성을 해치며 필수 공공서비스 예산의 축소로 이어진다”고 주장했다. 야당인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 역시 성명을 내고 “막대한 예산투입이 진정 시민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특정인의 치적쌓기용 전시행정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비난했다.

대전시는 이 같은 비판에 대해 다른 지자체와 비교해도 특별히 큰 규모가 아니라고 강조한다. 대전시 관계자는 “서울은 5000억원 규모이고, 인천도 2500억~2600억원 수준으로 공연장을 추진하고 있다”며 “부산은 비슷한 규모를 1100억원으로 건설했다는데 그것은 10년 전 얘기”라고 반박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중부권에 세계적인 음악 전용 공연장을 짓는다면 그 자체로 관광자원”이라며 “지역경제와 원도심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반박했다.

대전시는 행정절차가 예정대로 진행된다면 2028년 착공해 2032년 개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윤여운 기자 yuyoon@naeil.com

윤여운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