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전세종 경제자유구역 속도차
충남, 올해 안 지정 가능성
대전세종, 내년 하반기에나
충남도와 대전·세종시가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양 지역간 속도 차가 나고 있다. 현재 대전·세종·충남지역엔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된 곳이 없다.
25일 대전시와 충남도 등에 따르면 충남경제자유구역 지정여부는 올해 결정될 가능성이 큰 반면 대전·세종은 이르면 내년 하반기에나 가능하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충남도는 최근 충남경제자유구역 지정 요청 보고를 완료하고 최종 개발계획 심사를 기다리고 있다. 일반적으로 경제자유구역위원회의 심의가 6개월 정도 걸리는 것을 고려하면 올해 하반기엔 지정여부가 결정날 전망이다.
충남경제자유구역의 지역별 사업지구와 중점 유치업종을 살펴보면 △천안시 수신지구 미래모빌리티·반도체 △아산시 인주지구 디스플레이·미래모빌리티 △아산시 둔포지구 반도체 △서산시 지곡지구 2차전지 △당진시 송산지구 수소융복합 등이다. 충남도가 경기도와 함께 추진하고 있는 ‘베이밸리’ 건설 지역이 다수 포함됐다.
충남도는 이미 한차례 경제자유구역을 운영했다가 2014년 해제한 경험이 있다. 이 때문에 다른 지역과 달리 적정성 검토를 세차례나 받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충남도 관계자는 “남은 행정절차와 경제자유구역위원회 심의에 적극 대응할 예정”이라며 “상반기에 경제자유구역청 개청 계획을 수립하고 하반기에는 경제자유구역 지정·고시를 받아 경제자유구역청을 개청하겠다”고 말했다.
반면에 앞서 2020년부터 시작한 대전세종경제자유구역은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대전시와 세종시는 2023년 정부에 지정을 요청했지만 실패한 바 있다.
대전시의 경우 안산의 첨단국방산업단지, 신동·둔곡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탑립·전민의 첨단부품소재와 바이오 산업단지 등 3개 지구다. 모두 세종시와 인접한 북부권인 유성구에 위치해 있다.
세종시는 연서의 스마트국가산업단지, 5-1생활권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4-2생활권 첨복단지·공동캠퍼스 등 3개 지구다.
대전시와 세종시는 지난 2월부터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위한 개발계획 보완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이들은 오는 8월 용역을 마무리하고 이후 적정성 검토에 들어갈 계획이다. 충남도 적성성 검토가 8개월 걸렸다는 것을 고려하면 내년 상반기에 통과할 경우 내년 하반기에 지정여부가 결정날 전망이다.
하지만 이 마저도 그동안 발목을 잡아온 안산 첨단국방산단의 개발제한구역 해제가 올 하반기에 결정나야 가능하다.
경제자유구역 핵심지역인 안산 첨단국방산단은 개발의 공공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감사원 지적에 따라 중단된 상태다.
대전시 관계자는 “그동안 노력으로 안산 첨단국방산단의 개발제한구역 해제가 올해 3분기에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고 탑립·전민 산업단지 실시계획 승인도 10월쯤 예상하고 있다”며 “과학기술의 대전과 행정의 세종이 함께 새로운 경제자유구역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윤여운 기자 yuyoon@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