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립·은둔, 뇌전증, 치매 당사자 역량 강화로 지역사회에서 살기”

2025-03-29 20:36:04 게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제3회 포용적 도시혁신포럼 … “지역 공동체와 연결 중요”

고립은둔청년, 뇌전증환자, 치매 당사자 등의 역량 강화로 지역사회에서 온전히 살아갈 수 있는 도시혁신을 이루자는 논의가 이뤄졌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하 STEPI, 원장 윤지웅)은 28일 대구남구청년센터에서 ‘청년과 당사자가 함께 만들어가는 포용도시를 위한 돌봄실험: 경험과 과제’란 주제로 ‘제3회 포용적 도시혁신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한국에자이 △돌봄리빙랩네트워크 △협동조합 소이랩 △대구남구청년센터가 주최하고 △STEPI △한국리빙랩네트워크 △대구광역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가 주관했다. 고립·은둔 청년, 뇌전증, 치매 등 당사자가 대상이 아닌 주체로서 스스로 돌보고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포용적 도시를 위한 공동 창조형 돌봄실험 전략이 논의됐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은 28일 대구남구청년센터에서 ‘제3회 포용적 도시혁신포럼’을 개최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은 28일 대구남구청년센터에서 ‘제3회 포용적 도시혁신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첫 발제를 맡은 박길도 대구남구청년센터 사무국장은 ‘닫힌 문을 여는 돌봄실험: 고립·은둔청년을 위한 사회적 연결’ 주제에서 “고립은 단절상태에 가까우며, 은둔은 단절의 결과로 사회 자체를 회피하게 된 심화 상태”로 정의했다. 1990년대부터 사회문제로 공론화 된 일본 ‘히키코모리’ 현상을 전하면서 청년 고립이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구조 속에서 형성된 복합적인 현상임을 지적했다.

박 국장은 고립·은둔청년은 단순한 도움이 아닌 ‘연결의 계기’를 제공하는 접근 방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지역공동체와 다시 연결되기 위한 방안으로 지난 2024년 8월에 4개 광역시·도(인천 울산 충북 전북)에서 개소된 ‘청년미래센터’ 등 고립·은둔청년 전담기관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고립(53만8000명) 및 은둔청년(24만4000명)이 청년 인구대비 5.7%인 78만2000명으로 추정된다.

심재신 내마음은콩밭 공동대표는 ‘뇌전증 당사자가 주도하는 돌봄혁신 실험, 에필랩의 도전과 과제’ 주제 발표에서 지속가능한 포용사회를 위한 협력 방안 중 하나로 뇌전증 환자와 가족이 주체가 되어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에필랩(Epilepsy+Living LAB)’의 취지와 주요 활동을 소개했다. 에필랩은 ‘뇌전증’과 함께 생활하는 경험 전문가인 환자와 가족들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활동을 기획하고 실천하는 기획 전문가와 협업해 해결책을 직접 만든다.

대구에서 시작된 뇌전증 환자이자 활동가 모임인 ‘따뜻한 시선’으로부터 출발한 △‘에필랩’의 뇌전증 환아 보호자들이 주축이 되어 만든 학교 및 활동지원서비스 가이드인 ‘에피튜드’ △정보 접근성과 정서적 지지를 추구하는 웹사이트 ‘우리아이뇌전증.com’ 등 주요 성과와 함께 뇌전증이 있어도 안심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사회형성의 미래도 제시했다.

서정주 한국에자이 기업사회혁신 이사는 ‘치매 당사자들과 함께 만들어 가는 지역돌봄 전환 실험과 스케일업 전략’ 주제 발표에서 치매 돌봄 리빙랩 활동 경험과 개발된 솔루션들의 스케일업 방안을 제시하며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대응 필요성을 강조했다.

△치매 당사자 및 가족이 공동창조한 교육·활동 프로그램 △‘15분 접근 치매카페’ 등 민간 중심으로 개발된 솔루션들의 필요성 △이런 솔루션들이 지역을 넘어 널리 활용되기 위해 정부 정책적 지원의 필요함도 주장했다.

송위진 한국리빙랩네트워크 정책위원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된 패널 토론에는 △민노아 공생 대표 △성지은 STEPI 선임연구위원 △송민선 충북ㅁ형유산위원회 위원 △이창원 대구사회적기업협의회 회장 △허경애 산격마을관리사회적협동조합 돌봄대장이 참여해 전환지향적 복지·돌봄혁신을 구현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당사자와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 창조형 돌봄실험의 경험과 과제를 논의했다.

한편 ‘포용적 도시혁신포럼’은 다양한 혁신주체와 시민·지역사회가 함께 지역도시가 직면한 △고령화 △양극화 △청년유출 △기후위기와 같은 도전과제 해결을 모색하는 도시혁신 네트워크로 2025년 1월 발족했다. 다양성·형평성·포용성 기반 도시혁신활동을 지향한다. 혁신 활동의 지역 착근성 및 문제해결력을 제고하기 위한 도시혁신 생태계 고도화 방안을 논의한다.

김규철 기자 gckim1026@naeil.com
김규철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