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사업 기관 선정

2025-04-02 13:00:13 게재

복지부, 최대 11년 경력 지원

올해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사업을 진행할 기관이 선정됐다. 의사과학자들이 계속 연구할 수 있도록 최대 11년 경력 지원을 한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025년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 사업(학부·대학원 인프라) 공고 결과 각각 2개 의대, 5개 컨소시엄(13개 의대 대학원)이 선정됐다”고 1일 밝혔다. 이번에 선발된 기관들은 25년 3월부터 28년 2월까지 3년동안 사업을 수행하면서 의사과학자를 꿈꾸는 학생들을 양성하게 된다.

학부는 서울대 연세대 경북대를, 대학원은 경북대(경북대 계명대), 고려대(영남대 한양대 충북대), 서울대(충남대), 연세대신촌(가톨릭대 아주대 차의과대), 연세대원주(단독) 컨소시엄으로 선정됐다.

복지부는 2019년부터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 사업’을 통해 박사학위 취득까지 전주기 양성 과정을 지원하고 있다. 배출된 의사과학자(MD-Ph.D)들이 계속해서 연구할 수 있도록 최대 11년(신진 3년, 심화3년, 리더 5년)까지 의사과학자 경력 단계별로 지원하는 ‘글로벌 의사과학자 양성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그간 의사과학자 지원 사업의 성과를 살펴보면, 대학원 인프라지원사업은 2019년부터 컨소시엄당 연간 1억8000만원(국고 기준)을 지원했다. 이를 통해 학교별 의사과학자 양성 시스템을 구축하고 컨소시엄 내 교육·연구 협력 기반을 마련했다. 또한 컨소시엄 자체적으로 전공의를 선발해 임상 수련과 병행하며 연구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또한 2022년부터 의대 학부과정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해 연간 2억7000만원(국고 기준)을 지원해 의대생들이 의사과학자 진로에 대해 미리 경험하고 고민할 수 있도록 교육환경을 마련하고 연구 실습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복지부는 이번에 선정된 기관들이 연속적인 사업 추진을 통해 이러한 성과를 더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정은영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의사과학자는 임상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연구실에서 해결할 수 있는 바이오헬스 분야의 핵심 인재”라며 “학부부터 의사과학자 진로에 대한 고민을 할 수 있도록 저변을 확대하고 석·박사생에게는 연구에 집중하며 지속적으로 연구를 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을 위한 각종 제도 개선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김규철 기자 gckim1026@naeil.com

김규철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