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격차 바이오의약품 CDMO<의약품 위탁개발생산> 기업 육성해야

2025-04-03 13:00:07 게재

블록버스터 특허 만료

최대 79조원 시장 열려

향후 5년 내 다수의 글로벌 의약품 특허가 만료돼 수십조원 규모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시장이 열리는 가운데 한국 기업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3일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CDMO 시장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지난해 기준 세계 매출액 상위 20개 바이오•합성의약품 중 12개의 특허(미국 기준)가 2030년 이전에 만료되며 최대 79조원 규모 CDMO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들 의약품 가운데 매출액이 295억달러(약 43조2000억원)로 가장 많은 미국 머크(MSD)의 면역항암제 ‘키트루다’는 2028년 미국에서 특허가 만료된다. 이에 따라 한국의 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미국의 암젠, 스위스의 산도스 등 국내외 기업들이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글로벌 임상 3상에 착수한 상황이다.

한경협은 바이오시밀러 개발·생산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는 가운데 미국과 일본, 대만 등 주요국은 타 업종의 투자를 받거나 정부 지원을 받아 시장 선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에서는 인공지능(AI)이 신약 개발 주기를 단축할 뿐만 아니라 신약후보 물질 발견 등에서 성과를 내면서 정보기술(IT) 기업인 구글·엔비디아 등의 바이오산업 투자가 늘고 있다.

일본 정부는 2019년 ‘2030년 최첨단 바이오경제 사회 실현’을 목표로 하는 바이오 전략을 발표한 데 이어 지난해 CDMO 사업을 더욱 확대했다.

대만 정부의 경우 2023년 5월 미국 바이오의약품 제조회사인 내셔널 리질리언스와의 합작 투자사(정부 지분 약 57%)인 TBMC를 설립했다.

한경협은 CDMO가 임상 1상 단계부터 매출 실현까지 평균 5년 이상이 걸리는 특성상 안정적인 인력 충원을 통한 사업추진을 위해 올해 말까지인 통합 고용 세액공제 적용 기한을 최소 10년 이상 연장해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원료의약품 또는 원료물질 수입 시 통관 절차를 간소화해 원료 조달을 신속히 할 수 있도록 하는 특별법이 통과되면 국내 기업들의 사업 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했다.

고성수 기자 ssgo@naeil.com

고성수 기자 기사 더보기